한파에 난방비 ‘폭탄’까지…시설농가 ‘시름’

손준수 2023. 1. 27. 21: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광주] [앵커]

전남 서해안에 대설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내일 광주·전남 전역에 또 눈 소식이 예보됐습니다.

매서운 추위와 눈 소식이 이어지면서 이번 겨울 들어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는 가구가 속출하고 있는데요.

겨울철 농사를 짓는데 난방이 필수인 시설 농가들은 특히 치솟는 난방비 부담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손준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비닐하우스 안에 출하를 앞둔 방울토마토가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하우스 내부 온도는 영상 13도.

비닐을 두 겹으로 두르고 온풍기까지 가동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계속된 한파로 지난해보다 난방 비용이 한 달에 백만 원 정도 더 늘었습니다.

[박준두/방울토마토 농장주 : "(난방비 상승으로) 내년도에는 저온성 작물 (농사를) 검토한다든가 아니면 겨울에 휴경해서 봄철에 난방이 들어가지 않은 시기를 활용해야 하는 건가 (고민스럽습니다.)"]

화훼 농가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코로나19 유행이 꺾이고 3년 만에 졸업과 입학 특수를 기대하고 있지만, 치솟은 기름값 때문에 생산비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파에 폭설로 일조량까지 줄면서 낮 시간에도 이렇게 보광등을 켜놓아야 하기 때문에 화훼농가들에는 난방비뿐만 아니라 전기사용료도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비룟값과 인건비도 줄줄이 오른 상황, 결국, 꽃값은 지난해 이맘때보다 30% 이상 올랐습니다.

대목을 맞아서도 자칫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지 않을까 농민들은 우려하고 있습니다.

[장성현/화훼 농장주 : "다음 주부터 저희한테는 대목이 돌아오는데, 아직도 예측을 못 하겠어요. 과연 어떻게 경기가 풀려가지고 봄 대목이 (올지 모르겠어요.)"]

혹한에 치솟는 난방비와 작물 수요마저 줄어든 이중고로, 시설 하우스 농민들의 겨울나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손준수 기자 (handsome@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