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는 MBC] 24개월 미만은 다 준다더니‥2021년생만 차별?
[뉴스데스크]
◀ 앵커 ▶
정부가 양육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저출생 문제를 완화겠다며 이틀 전부터 '부모급여'를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만 1세, 24개월 미만 자녀를 둔 부모가 대상입니다.
그런데 같은 24개월 미만인데, 2022년생은 받고, 2021년생 부모들은 못 받는 일이 벌어지면서 '차별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정혜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이기일/보건복지부 1차관 (1월 8일)] "저출산 완화를 위한 일·육아 병행도 지원하겠습니다. 금년에는 0세는 월 70만 원, 1세는 35만 원의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정부가 출산 부담을 나누겠다며 야심차게 내놓은 '부모급여' 사업.
그런데 이틀 전 첫 지급일, 만 1세 부모 사이에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2021년생 부모들만 급여를 받지 못한 겁니다.
[정채유/14개월 부모] "특히 저는 연말 생이니까. 2022년생 아이들이랑 차이가 크게 나지도 않는데, 24개월 미만인데도 2021년생이라서 안 준다 이게 되게 어이가 없고‥"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문제는 정부가 '부모급여' 지급 대상을 '만 0세'와 '만 1세'로 발표한 데서 시작됐습니다.
[장미애/15개월 부모] "만 나이로만 적용을 한다고 했으니까 저희 애기가 21년 10월 31일생이라고 했을 때는 (주민센터에서) 당연히 지원을 받는다라고 말씀하셨거든요."
그동안 2021년생 부모들은 양육수당으로 개월 수에 따라 월 10에서 20만원, 2022년생 부모들은 양육수당 대신 지난해부터 신설된 영아수당으로 월 30만 원을 받아왔습니다.
'부모급여'란 이 가운데 영아수당의 지원금을 올리면서 이름만 바꾼 것.
이 과정에서 21년생 부모들은 배제된 겁니다.
저출산 대책이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사실상 새로운 정책은 아닌 셈입니다.
[박애리/13개월 부모] "왜 안 돼 24개월 미만인데, 그냥 거기에서 그냥 화가 나는 거죠. 첫 만남(2022년 출산지원금)도 못 받았고 영아 수당도 못 받았는데, 받을 수 있다고 해놓고 왜 또 못 받아‥"
복지부는 정책 전달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졌다면서도 추가 대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부모들은 '차별'이라며,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지난 11일 시작된 국민청원 게시글에는 5천 명이 넘게 동의했습니다.
MBC뉴스 정혜인입니다.
영상취재: 남현택/영상편집: 고무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남현택/영상편집: 고무근
정혜인 기자(hi@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49516_3619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더 빨라진 소진 시계‥"국민연금 2055년에 바닥"
- 한강에 쇄빙선 나타나고 계단엔 고드름‥"내일 더 춥다"
- 정년 연장? 정년 폐지?‥55세 이상 고용 확대 사회적 논의 시작
- [제보는 MBC] 24개월 미만은 다 준다더니‥2021년생만 차별?
- 한파 피해 지하철 떠도는 노인들‥유독 더 추운 취약계층
- 윤 대통령 "통일 갑자기 올 수도‥북한 실상 정확히 알려야"
- 필리핀서 지난 13일 한인 선교사 피살‥현지인 피의자 검거
- 윤 대통령, 권익위 부위원장에 '오또케'논란 로스쿨 교수 임명
- 국민연금 기금, 2041년 적자·55년엔 소진‥"5년 전보다 빨라져"
- 한일, 오는 30일 서울서 외교국장급 협의‥강제동원 문제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