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램덩크 열풍에··· 품절대란 빚은 이 술은

한동훈 기자 2023. 1. 27. 07: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국내 주요 주류 관련 온라인 카페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정대만 사케를 사고 싶다'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27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1990년대 국내에서 인기를 끈 농구 만화 '슬램덩크'가 최근 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로 제작돼 개봉한 가운데 극 중 등장인물 '정대만'의 이름을 딴 술이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영화의 인기 속에 자연스레 슬램덩크 관련 술로 알려진 정대만 사케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정대만 사케' 인기··· 구매 문의 잇따라
술 이름에서 정대만 캐릭터 이름 유래
공식 수입사 '재고 소진에 판매 중단"고지
정대만 사케로 알려진 ‘미이노고토부키’. 사진 제공= 지자케 씨와이 코리아
[서울경제]

“정대만 사케 파는 곳 어디인가요?” “일본에 가면 정대만 사케 쉽게 구할 수 있나요?”

요즘 국내 주요 주류 관련 온라인 카페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정대만 사케를 사고 싶다’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일반 주류 매장에서 구하기 힘들어 일본에 여행 가는 지인에게 구입을 부탁했다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27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1990년대 국내에서 인기를 끈 농구 만화 ‘슬램덩크’가 최근 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로 제작돼 개봉한 가운데 극 중 등장인물 ‘정대만’의 이름을 딴 술이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정대만 사케’로 불리는 이 술은 ‘미이노고토부키(三井の寿) 준마이 긴조’라는 일본 술이다.

슬램덩크 원작자인 이노우에 타케히코(井上雄彦)는 후쿠오카의 ‘미이노고토부키'라는 양조장에서 만든 술을 즐겨 마셨는데, 이후 슬램덩크 캐릭터를 만들 때 양조장명(名)에서 조사인 ‘노(の)’를 빼고 남은 한자의 다른 발음을 적용해 ‘미쓰이 히사시(三井寿)’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이 미쓰이 히사시가 국내에는 ‘정대만’으로 알려진 원작 속 캐릭터다. 미이노고토부키에서 만드는 술 중에서도 병 표면에 ‘14’라는 숫자가 붙은 제품이 정대만 사케다. 14는 알코올 도수를 의미하는데, 만화에서는 정대만의 등 번호이기도 하다. 이 술은 원작자 허가를 받아 병 겉면에 슬램덩크 주인공들이 뛰는 팀 ‘북산’, 일본명 쇼호쿠(湘北) 유니폼을 새겼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 포스터. 서울경제DB

이 술이 최근 들어 수요가 늘고 있는 것은 국내에서 슬램덩크 열풍이 불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인기 만화였던 슬램덩크가 최근 ‘더 퍼스트 슬램덩크’라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개봉했는데 3040 관객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영화의 인기 속에 자연스레 슬램덩크 관련 술로 알려진 정대만 사케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진 것이다.

공급 부족에 주요 주류 매장에서는 품절 대란도 빚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미이노고토부키를 공식 수입하는 지자케 씨와이 코리아는 이달 중순 “최근 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인기로 정대만 사케 재고가 소진돼 소매 판매를 중단한다”며 “2월 중순 정도에 재판매한다”고 공지하기도 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슬램덩크가 3040세대들의 어릴 적 추억을 소환하면서 관련 굿즈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며 “정대만 사케도 이름과 관련된 재미있는 히스토리가 부각되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