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년대 ‘1호 호주 이민’ 기록 발견…무슨일 했었나 보니

이효석 기자(thehyo@mk.co.kr) 2023. 1. 26. 2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호 한인이민은 1876년 존 코리아
송지영 멜버른대 한국학 교수 발표
양털깎이로 일하다 광산산업 업무
존 코리아의 귀화 당시 자료와 밀두라에 있는 그의 묘지 부근.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한국인의 호주이민 역사가 187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주장이 나왔다.

멜버른대 한국학연구허브 소장인 송지영(현지명 제이 송) 한국학 교수는 최근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FP)에 ‘19세기의 양털깎이가 우리에게 한국과 호주 관계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줄 수 있나’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호주의 이민한 최초의 한국인은 1876년 도착한 존 코리아”라고 밝혔다.

송 교수에 따르면 존 코리아가 1894년 호주로 귀화할때 작성한 자료가 남아있다. 여기에 한국 이름은 나오지 않으며 1859년생으로 기록돼 있다. 또 한국 출신자(native of Corea)로 뉴사우스웨일스(NSW)주 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 골골(Gol Gol)에서 양털깎이로 일했다고 기록돼 있다.

그는 17살때인 1876년 중국 상하이와 호주를 오가며 차를 나르던 무역선 로치엘을 타고 호주에 도착했다.

귀화한 이듬해인 1895년 서호주 쿨가디에서 광산면허를 신청했지만, NSW주에서 귀화한 사람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했다. 이 기록은 광산권 허가담당자가 작성한 정부기록에 남아있다고 한다.

존 코리아는 포기하지 않고 NSW주 브로큰힐에서 다시 광산면허를 신청했고, 1903년 면허를 취득했다.

송 교수는 “그는 광산으로 큰돈을 번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렇지만 결핵을 앓던 그는 1924년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밀두라에 있는 니콜스 포인트 묘지에 묻혔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이어 “존 코리아의 이야기는 한국과 호주와의 관계가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빨리 시작됐음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지난 150여 년간 크고 작은 한인 이주의 물결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