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자 비중 높은 '이 질환', 원인은 폐경?

김주미 2023. 1. 26. 16: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 사이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척추관협착증은 다리와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 질환으로,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리며 발생한다.

노화와 큰 연관이 있기 때문에 70대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이 남자는 1만2천777명, 여성은 1만9천56명에 이를 정도로 노년층에 흔한 질환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최근 5년 사이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진료인원의 62%는 여성이었다.

척추관협착증은 다리와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 질환으로,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리며 발생한다. 관절과 인대가 비대해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나와 척추관을 누르는데, 이로 인해 다리와 허리 통증이 생기낟.

척추협착관증은 흔히 디스크로 불리는 추간판탈출증과 함께 대표적인 척추 질환에 속한다.

2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척추관협착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79만9천328명으로, 2017년보다 15만2천181명(9.2%)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2.2%다.

총 진료비는 2017년 7천132억원에서 2021년 9천280억원으로 30.1%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의 62%는 여성이었으며, 연령대별로는 70대가 31.4%, 60대 30.8%, 80대 17.5% 등 50대 이상이 93%를 차지했다.

노화와 큰 연관이 있기 때문에 70대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이 남자는 1만2천777명, 여성은 1만9천56명에 이를 정도로 노년층에 흔한 질환이다.

중년 이후 여성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폐경 이후 나타나는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가 원인"이라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의 신재원 교수는 설명한다.

신 교수는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은 골밀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이 줄며 뼈 소실과 근육량 감소를 초래하고 척추 관절을 지탱하는 힘이 떨어져 척추질환 발생을 가속한다"고 말했다.

척추협착관증 예방법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올바른 생활습관을 지닐 것을 강조한다.

양반다리 혹은 쪼그려 앉아 일하는 자세는 피해야 하며, 무거운 물건을 들 일이 생기면 몸에 가까이 붙여 무릎을 구부리고 드는 것이 좋다. 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적절한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도 척추 부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신 교수는 "척추관협착증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면 척추 신경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완전히 막히고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 회복이 힘들다"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강조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