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배의 빙산이 ‘쩌억’…어디로 흘러가나 추적 중(영상)

박세영 2023. 1. 26. 16: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극의 브런트 빙붕에서 서울 면적 2.5배 크기의 빙산이 떨어져 나왔다고 영국 남극연구소(BAS)가 발표했다.

도미닉 호지슨 BAS 소속 빙하학자는 "남극의 빙붕은 주기적으로 확장됐다가 떨어져 나간다"며 "이번 빙산 분리가 중요한 이유는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중에서도 빙산은 수면 위로 나타난 부분의 높이가 최고 5m 이상인 얼음조각을, 빙붕은 남극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300~900m 두께의 거대한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극 초대형 빙산 분리
“북극 빙하와 달리 기후 변화 요인만은 아냐”
커다란 빙하 조각이 떨어져 나가는 모습. 붉은 사각형 부분이 크랙에서 균열이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영국 남극연구소(BAS) 공식 트위터 캡처
거대빙산이 떨어져 나가는 과정을 담은 모습. 영국 남극연구소(BAS) 트위터 캡처

남극의 브런트 빙붕에서 서울 면적 2.5배 크기의 빙산이 떨어져 나왔다고 영국 남극연구소(BAS)가 발표했다.

15일(현지시간) 외신들의 보도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10년 전 처음 빙붕 위에 빙하가 갈라진 커다란 균열이 생긴 것을 발견했다. 또 지난 2년 사이 두 번의 큰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떨어져 나간 빙산의 면적은 1550㎢로, 서울 면적(약 605㎢)의 2.5배에 이른다.

초대형 빙산 분리는 현재 여름 기간인 남반구의 해빙 면적이 기록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발생했다. BAS에 따르면 2022년 12월 남극 해빙 면적은 지난 45년간 위성 기록 중 가장 작았다.

지난 11, 12월 평년 대비 약 2도 더 따뜻해진 로스해(海)의 수온과 매서운 강풍이 해빙 면적을 좁힌 것으로 보인다. 이때 손실된 면적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연구원들은 남극의 빙산 분리가 기후 변화 때문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빙하학자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남극 대륙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 전 세계의 온난화 현상 사이에 연관성은 있지만 (이 빙산 분리는) 북극이나 산악 빙하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도미닉 호지슨 BAS 소속 빙하학자는 “남극의 빙붕은 주기적으로 확장됐다가 떨어져 나간다”며 “이번 빙산 분리가 중요한 이유는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이 빙붕이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있으며, 안전 확보를 위해 BAS 연구 기지를 내륙으로 옮겼다.

한편 빙하는 △빙하(Glacier) △빙상(Ice sheet) △빙붕(Ice Shelf) △빙산(Iceberg) 등 네 종류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빙산은 수면 위로 나타난 부분의 높이가 최고 5m 이상인 얼음조각을, 빙붕은 남극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300~900m 두께의 거대한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박세영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