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부실 폭탄' 대비 압박…행동주의 펀드는 '배당잔치' 압박

권준수 기자 2023. 1. 26. 11:5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경기상황이 악화된 가운데도 지난해 금융회사들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습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선제적 부실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행동주의 펀드는 배당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권준수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금융당국이 부실확대에 대비한 움직임에 나섰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현행 감독규정상 금융당국은 은행에 미리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없는데요.

올해 상반기부터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에 대손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토록 하는 근거 규정이 생깁니다.

그동안은 자율적인 협조만 요청할 수 있어 경기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금감원은 또 금융위의 사전승인을 안 받고도 은행마다 미리 충당금 적립을 요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같은 금융지원으로 인해 대출 규모가 늘어도 부실 채권은 줄어드는 착시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인데요.

은행별로 충당금을 산출하는 방법도 차이가 크다보니 앞으로 금융당국은 회계기준에 따른 예상손실이 적당한 지 정기적으로 관리·감독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하지만 행동주의 펀드는 배당확대를 요구하고 나섰죠?

[기자]

맞습니다, 얼라인파트너스라는 행동주의 펀드가 7대 금융지주에 주주배당을 확대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순이익 50% 이상을 배당으로 환원하라는 건데요.

다음 달 실적 발표에 맞춰서 배당을 확대하지 않을 경우 올 3월 주총에서 소액주주들의 위임을 받아 표대결을 벌이겠다고 압박했습니다.

충당금과 배당 확대 동시 압박을 받고 있는 금융권에서는 "배당 50% 이상 환원은 적당하지 않은 수준"이라면서 "특별충당금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주주환원에 대한 압박도 동시에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난감함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SBS Biz 권준수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