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이공분야 강화에 9500억 투자..대학원생에 연구장려금도

유승목 기자 2023. 1. 26. 10: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 '2023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 발표

정부가 올해 인문사회·이공분야 기초학문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9556억원을 투자한다.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들이 핵심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300명을 선정해 1인당 2000만원씩 연구장려금을 지원한다. 국내·외 중요 고서·고문헌을 수집·제공하는 '한국학자료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한국학 내실화도 추진한다.

교육부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학문 간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각 분야별 종합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총 1만5925개 학술·연구과제에 9556억원을 지원하는 게 골자다. 인문사회에는 전년 대비 542억원 늘어난 4172억원, 이공분야는 90억원 줄어든 5384억원의 예산이 확정됐다.

올해 학술연구지원사업은 인문사회분야 연구기반 구축에 중점을 둔다. 교육부는 우선 학문후속세대와 개인연구 지원을 위해 5870개 과제에 1463억원을 투자한다. 학술·연구 초기 단계의 비전임 연구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구에 매진할 수 있게 지난해 582억원(2697개 과제) 수준이었던 지원예산을 952억원(3452개 과제)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 박사과정생이 국가 핵심연구 인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을 신설해 늦어도 오는 9월 가을학기부터 300명을 대상으로 60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인문사회 연구 인프라 구축도 진행한다. 융복합 연구와 사회과학 연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학 연구기반 확충에 1055억원(282개 과제)을 쏟아붓는다.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중 융복합연구과제도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2개과제 10억원 수준이었던 예산을 4개 과제 20억원으로 늘리고,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내 어젠다 연구분야를 신설해 2억7000만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복잡하고 다양화된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역량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대학 간 공유·협력체제를 구축해 인문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기반을 마련하는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대학' 사업도 추진한다. 5개 내외의 대학 간 컨소시엄을 선정해 총 150억원을 지원한다.

이와 별도로 학술연구기반 구축 차원에서 한국학 진흥사업을 병행한다. 2026년까지 한국학자료 통합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관련 자료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련 신규 과제 선정 시 한국학 기반이 취약한 중동·중남미·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가산점 부여 등 전략적 지원과 주요 저서의 외국어 번역을 통해 한국학 보급에 속도를 낸다.

/사진=교육부

이공분야의 경우 학문후속세대와 학문균형발전 지원과 대학연구기반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박사과정생부터 우수한 박사후연구자(Post-Doc·포닥)까지 성장단계에 따른 연구기회를 제공한다. 박사과정생 600명에게 90억원의 연구장려금을 지급하고, 박사후국내외연수에도 971명에게 463억원을 지원한다.

상대적으로 연구여건이 열악하고 연구비 지원이 적은 비전임연구인력이나 비수도권 연구자 등을 위해 2943억원(5038개 과제)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창의·도전 연구기반 지원(3236개 과제·1646억원) △보호연구(269개 과제·274억원) △지역대학 우수 과학자 지원(1508개 과제·956억원) △학제 간 융합 지원(25개 과제·67억원) 등으로 이뤄졌다.

교육부는 아울러 대학 내 지속가능한 연구거점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228개 대학중점연구소 160개소와 핵심연구지원센터 68개소에 1634억원을 지원한다. 신지 교원과 젊은 박사후연구원의 공동연구 수행을 지원하는 체계를 자율적으로 대학이 운영할 수 있게 비수도권 8개 대학에 연간 40억원을 지원하는 램프(LAMP)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교육부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한국연구재단 등 전문기관과 함께 세부안을 마련하고 과제 선정부터 성과 관리 등 사업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나선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미래사회 난제를 해결해나가기 위해 기초 학문분야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학술연구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인문사회·이공분야 기초학문 투자를 확대해 학문의 균형발전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