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전기차’ 차주들 불안, 서글픈 눈치 본다[긴급 점검]

손재철 기자 2023. 1. 26. 09: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7일 서울 테슬라 성수 서비스센터에서 일어난 차량 화재 사고, 이 사고는 서비스센터에서 발생해 전기차 열폭 화재의 진압 중요성을 재차 알린 케이스다. 사진 | 서울 성동소방서 제공



경기도 외곽 한 고층 빌딩 관리실에선 올해부터 순수 배터리전기차(BEV)의 지하주차장 진입을 전면 진입 금지하고 있다. 이유는 전기차 충전 도중 ‘열폭 화재’가 발생하면 지하에 마련된 전기실 피해는 물론 건물 전체로 ‘화마’가 번질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당연히 지원금을 받고 설치한 전기차 충전기도 운영 중단한 상태다.

전국 아파트에서도 엇비슷한 불안감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지하 주차장에서 BEV 모델이 충전 중이라면 그 주변에 차량을 주차하기 꺼려하는 현상으로 관리실이 골몰이를 앓은 지 오래다. 전기차 충전시설물을 ‘설치’만 해놓고 ‘운영’을 하지 않은 아파트들도 많아지고 있다.

배터리 전기차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점검’이 시급한 대목이다.

9일 오후 10시 25분께 세종시 소정면 운당리 국도 1호선을 달리던 테슬라 전기차 화재. 소방당국이 이동식 소화수조를 이용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 전기차 충전 사고, 현실은?

최근 소방청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에 제출한 ‘최근 3년간 연도별 전기차 화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발생한 국내 전기차 화재 사고는 44건이다. 2020년 11건, 2021년 24건에서 2배 가량 오른 수치다.

문제는 3년간 화재 원인을 들쳐보면 ‘전기적 요인’이 18건으로 가장 많다는 점. 고속도로 주행 도중 사고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6건’이었다.

화재가 일어난 장소는 일반도로 34곳, 그리고 ‘주차장이 29건으로 2위’를 차지해 눈길이 간다.

이에 김 의원은 “국토부와 소방청 등 관계 당국은 전기차 사고 시 화재 진압과 건물 지하시설 내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해 충분한 장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전기차 화재 사고 방지 분야 업계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2022년 9월 부산 동래구 안락동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열폭을 일으킨 대창모터스 다니고밴 전기차(오른쪽 두번째). 주변 내연기관 차량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사진 | 부산소방재난본부



특히 ‘주차장 내 전기차 열폭 화재’ 예방 및 화재 진압 장치들이 주차장에 필수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지만 그런 곳을 찾기란 힘들다.

전국 대부분의 노후화된 아파트에선 별도의 충전기는 고사하고, 주차장 외벽에 노출돼 있는 220볼트 단자 몇개를 전기차 충전용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이 전부다. 화재진압 장비 역시 주변에 ‘빨간색 이동식 소화기’를 몇개 비치하고 있는 수준이다.

지난 7일 서울 성수동에서 테슬라 차량에 불이 난 모습. 사진 | 서울 성동소방서 제공



■ 속앓이 차주들 ‘불안·눈치’

경기도 외곽에서 서울로 출퇴근용 BEV를 사용하는 차주들도 속앓이를 하고 있다.

통상 지역 내 급속 충전소의 충전기가 이용 전기차 수보다 턱없이 모자라, 귀가 이후 인근 빌딩 지하주차장에서 완속 충전을 하거나 아파트 EV 주차장을 이용하지만 충전 도중 ‘통신 오류’가 나는 것이 다반사다.

더욱이 완속 충전은 최소 2~3시간 이상 충전해야 하는데, 최근 연이어 터져 나온 전기차 화재에 따른 불안감으로 아파트 입주민들의 ‘눈치’를 보며 서글픈 충전을 하는게 현실이다.

2020년 4일 오전 2시 47분쯤 대구 달성군 유가읍 봉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발생한 현대차 코나 전기차 화재 사진 | 대구소방본부



전기차 부품 업계 한 관계자는 “전 세계에서 전기차들이 인기를 얻고 국내 전기차 산업도 성장세이나, 전국 단위 급속 충전소 확충이나 안전 운영 진단 등에선 여전히 차주들이 불안한 상태”며 “업계와 정부가 나서 차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재철 기자 so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