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올해 학술연구지원에 9500억 쏟아붓는다

문가영 기자(moon31@mk.co.kr) 2023. 1. 26. 06: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 발표
학문 균형발전 및 생태계 구축 위해
1만6000개 과제에 9500억원 지원

교육부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서 기초학문 투자를 통한 학문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건강한 학문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3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한다고 밝혔다.

26일 교육부는 올해 학술연구지원사업으로 총 1만5925개 과제에 대해 955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학술연구지원사업 지원 대상은 인문사회·이공분야에서 각 분야별 종합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지난해 대비 예산은 약 5%, 지원 과제 수는 약 4% 증가했다.

우선 인문사회분야는 8609개 과제에 대해 총 4172억원을 지원한다.

이 중 ‘인문·사회과학 학술진흥(개인연구)’ 지원 과제는 5870개(1463억원)로 인문·사회과학 학술진흥을 위해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안정적인 지원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특히 학술·연구 초기 단계의 비전임 연구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전년 대비 예산 및 지원 과제 수를 확대하고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을 신설해 지원할 예정이다.

그 외 ‘인문사회 연구 인프라 구축(집단연구)’ 항목에서 282개(1055억원) 과제를 지원해 연구소·대학 등의 연구 기반(인프라)을 강화한다.

아울러 인문사회 기반 융합인재를 양성하고자 대학 간 공유·협력체제를 구축하는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대학’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대학 간 연합체(컨소시엄) 5개 내외를 선정해 총 15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 외 한국학 진흥 사업 118개 과제에 226억원이 지원된다. 교육부는 한국학 진흥 사업을 통해 ‘한국학자료 통합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2022~2026년)해 국내·외 중요 고서·고문헌을 제공하는 등 한국학을 내실화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고전 중 해외의 관심도 및 연구수요가 높은 주요 저서의 외국어 번역도 지원한다.

이공 분야 지원 과제는 7316개로 총 5384억원이 지원된다.

우선 ‘학문균형발전 지원’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연구여건이 열악하고 연구비 지원이 적은 학문분야에서 5038개 과제에 대해 연구비 2943억원을 지원한다.

‘학문후속세대 지원’ 항목에서는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600개 과제(90억원), 박사후국내외연수 971개 과제(463억원)를 지원한다.

그 외 ‘대학연구기반 구축’ 항목에서는 대학중점연구소(기존 유형) 160개소에 1232억원, 핵심연구지원센터 68개소에 402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을 일부 개편해 비수도권 8개 대학에 연간 40억원을 지원하는 램프(LAMP, Learning&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램프는 대학이 대학연구소들을 총괄적으로 지원하고, 신진 교원과 젊은 박사후연구원의 공동연구 수행 지원 체계를 자율적으로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미래사회의 난제들을 해결해나가기 위해 기초 학문분야의 핵심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학술연구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 연구자들의 창의적인 지식 창출을 유도하고, 인문사회·이공분야 기초학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학문의 균형적인 발전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료=연합뉴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