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기초학술 연구에 9556억원 지원…전년보다 452억원 늘려

2023. 1. 26.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올해 기초 학문에 대한 연구 지원 규모를 총 9556억원으로 잡았다.

올해는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도 신설해, 총 300명에게 1인당 2000만원씩 총 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학술연구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 연구자들의 창의적인 지식 창출을 유도하고, 학문의 균형 발전을 지원해 나가겠다"라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문사회분야에 4172억원, 이공분야 5384억원 지원
5개 컨소시엄 대상 인문사회기반 융합인재양성대학 사업 추진

[헤럴드경제 도현정 기자]정부가 올해 기초 학문에 대한 연구 지원 규모를 총 9556억원으로 잡았다. 지난해보다 452억원(5%) 늘린 규모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2023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을 수립, 총 1만5925개 과제에 대해 9556억원을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인문사회 분야에 대해서는 8609개 과제에 4172억원을 지원한다. 개인연구 부문에서는 5870개 과제에 1463억원이 지원된다. 올해는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도 신설해, 총 300명에게 1인당 2000만원씩 총 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집단연구로는 282개 과제에 1055억원이 주어진다. 올해는 인문사회 중심의 융·복합 연구 확산을 위해 융복합연구과제를 전년의 2배 규모(4개 과제, 20억원)로 확대한다.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내 의제 연구도 신설, 3개 내외의 과제에 총 2억7000만원을 들일 계획이다. 5개 내외의 대학간 컨소시엄을 선정해 150억원을 지원하는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대학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한국학 진흥 사업으로는 118개 과제에 226억원을 지원한다. 신규 과제를 선정할 때에는 중동이나 중남미, 아프리카 등 한국학이 취약한 지역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이공계에서는 7316개 과제에 5384억원을 지원한다. 박사과정생부터 박사후연구자(포스닥)까지 연구기회를 제공하는 학문후속세대 지원 사업에서는 1571명에게 연구비 총 553억원을 지급한다.

대학 내 지속가능한 연구거점을 구축하기 위해 대학중점연구소와 핵심연구지원센터도 228곳 지원한다. 올해는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을 일부 개편해 램프(LAMP)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대학의 산하 연구소 총괄 지원, 신진 교원과 박사후연구원의 공동연구 수행지원 등을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서다. 비수도권의 8개 대학에 연간 40억원을 지원한다는게, 램프 사업의 골자다. 올해는 6개월분의 지원금이 지급된다.

연구비 지원이 적은 비전임연구인력이나 비수도권 연구자 등에게는 올해 5038개 과제에 대해 연구비 2943억원을 지원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학술연구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 연구자들의 창의적인 지식 창출을 유도하고, 학문의 균형 발전을 지원해 나가겠다”라 전했다.

kate01@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