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갈래요"… SKY자퇴 76%가 이과생

한상헌 기자(aries@mk.co.kr) 2023. 1. 25.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약학계열 재진학 추정

최근 3년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자퇴생 중 이과생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과생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는 이유는 의학계열을 목표로 진학하기 위해서란 전망이 나온다.

25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 공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자퇴생 1874명 중 1421명(75.8%)이 자연계열이었다. 3개 대학의 자연계열 자퇴생 비율은 2020년에는 66.8%, 2021년에는 71.1%로 점점 증가했다.

2022년 공시 기준으로 대학별로 보면 서울대는 전체 자퇴생 341명 중 자연계열이 275명(80.6%)으로 인문계열(66명)에 비해 4.2배가량 많았다. 연세대도 총 678명의 자퇴생 중 자연계열이 493명(72.7%)이었으며, 고려대는 855명의 자퇴생 중 653명(76.4%)이 자연계열이었였다.

학과별로는 자연계열에서 연세대 공학계열 144명, 고려대 생명공학부 81명,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61명, 고려대 생명과학부 54명, 연세대 이학계열 43명,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40명 순이었다. 인문계열은 고려대 경영학과 40명, 연세대 상경계열 21명, 연세대 언더우드학부 21명,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20명, 연세대 인문계열 19명 등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자연계열 중도 탈락 학생은 반수 또는 재수를 통해 의약학계열 진학으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인문계열도 이과 전향을 통해 의약학계열 진학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약학대학 선발이 2022학년도에 대학원에서 학부로 전환됐기 때문에 약대 진학을 위한 이공계생들의 반수 또는 재수 비율이 높아졌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한상헌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