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포스트 설'…올 겨울 가장 추운 날 날아든 '폭탄 고지서'

최일 기자 2023. 1. 25. 13: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전 서구의 한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40대 주부 김모씨는 설 연휴를 보내고 일상으로 복귀한 25일 집으로 날아든 지난해 12월분 관리비 고지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같은 구의 또 다른 공동주택 주민 박모씨는 지난해 11월 9만원대였던 난방비가 12월에는 19만원대로 2배 이상 급등했다며 "뉴스에서 보는 난방비 폭탄을 나도 맞았다"고 하소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난방비·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에 서민 울상
가스비 급등에 한파까지 이어지면서 난방비 폭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난방에 주로 사용되는 주택용 열요금은 Mcal당 89.88원, 도시가스 요금은 19.69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7.8%, 38.4% 올랐다. 이는 글로벌 에너지 가격 급등과 고환율 여파 때문으로 분석된다. ⓒNews1 김진환 기자

(대전=뉴스1) 최일 기자 = 대전 서구의 한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40대 주부 김모씨는 설 연휴를 보내고 일상으로 복귀한 25일 집으로 날아든 지난해 12월분 관리비 고지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작년 11월 27만원대였던 관리비가 12월에는 40만원대로 껑충 뛰었기 때문이다.

부과액이 증가한 항목은 난방비와 전기료, 수도료였다. 날씨가 추워지다 보니 사용량이 늘어난 탓도 있지만 잇따른 공공요금 인상이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김씨는 “최대한 아껴서 난방을 하고 전기를 쓰려 하지만 한겨울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는데, 생각보다 관리비가 너무 올라 걱정이 된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면서 “방학 중인 아이들이 춥다면서 집에서 옷을 여러 겹 껴입고 있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짠하다. 하지만 가스요금 인상으로 난방을 계속 켜둘 수도 없는 노릇이고, 방마다 전기장판을 놓았더니 전기료 부담이 커졌다. 빨리 겨울이 지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같은 구의 또 다른 공동주택 주민 박모씨는 지난해 11월 9만원대였던 난방비가 12월에는 19만원대로 2배 이상 급등했다며 “뉴스에서 보는 난방비 폭탄을 나도 맞았다”고 하소연했다.

박씨는 “고물가·고금리 속에 건강보험, 국민연금, 전기·수도료, 난방비 등 공공요금 인상이 너무 가팔라 살림을 꾸리기 힘겹다”고 볼멘소리를 했다.

연초부터 서민들을 우울하게 하는 가스·전기 등 공공요금 오름세는 올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작년 한 해 네 차례에 걸쳐 40% 가까이 오른 가스요금의 경우 2분기 이후 지난해 대비 최대 2배 수준의 인상을 예고하고 있고, 이달부터 ㎾h당 13.1원 오른 전기요금 역시 2분기에는 더 큰 폭의 인상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속에 전 세계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있고,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으로 빚어진 이란과의 외교 갈등도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돌며 서민들은 혹한보다 무서운 고물가 공포에 떨고 있다.

choi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