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끝은 없다” 목원대 역사스터디서 공부 이어가는 늦깎이 청강생들

임호범 2023. 1. 25. 13: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목원대 인문관의 한 강의실에서 열린 역사학과 스터디 모임에서 청강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목원대 제공


“목원대학교에 가기 위해 매주 화요일은 평소보다 이른 저녁을 먹습니다.”

가정주부 김춘교(74) 씨는 16년째 매주 한 번씩 목원대를 방문하고 있다.

역사학과 학생들과 함께 중국 정사인 사마천의 <사기>(史記)를 원문으로 배우기 때문이다.

그는 목원대에 정식으로 입학한 적은 없지만, 배움에 대한 열의로 청강하고 있다.

김춘교 씨는 “붓글씨를 배우다가 우연히 목원대 역사학과의 스터디를 알게 됐고, 사마천의 <사기>를 통해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고 있다”며 “‘조금 더 어렸을 때부터 배웠더라면 참 좋았을걸’이란 생각에 더욱 열심히 공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25일 목원대에 따르면 늦깎이 청강생은 김춘교 씨만이 아니다. 김춘자(72)·이광규(69)·양연호(60)·한경애(58) 씨 등도 마찬가지로 목원대 역사학과 학생들과 십수 년째 <사기> 스터디를 이어오고 있다.

이들은 목원대에서 ‘배움에 끝은 없다’는 격언을 실천하며, 20대 학생들에게 건강한 삶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목원대 <사기> 스터디에 참여하는 늦깎이 학생들은 모두 청강생 자격으로 다니고 있다.

학원에서 중고등학생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한경애 씨의 경우 40세이던 2005년부터 19년째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다.

그는 지인을 통해 “목원대에 중국사를 공부하며 함께 토론하는 스터디가 있고, 재학생이 아니어도 참여할 수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역사학과 학생들과 공부를 시작했다.

한경애 씨는 “수업마다 온고지신(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해 새것을 안다)을 몸소 체험하고 있다”며 “스터디를 통해 공부의 궁극적인 목적을 향해 한 걸음씩 더 나아가는 것이 즐겁다”고 밝혔다.

<사기> 스터디는 목원대 역사학과 도중만 교수가 21년째 운영하는 열린 강좌이다.

그는 목원대에 부임 이듬해인 2003년부터 제자들의 학업을 돕기 위해 스터디를 만들었다.

중국사를 전공한 도중만 교수는 현재까지 매주 화요일 <사기> 원문을 제자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학점을 받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껏 토론하는 지적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인생관을 심어주자는 게 스터디의 근본 취지였다.

<사기> 스터디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2년간 중단됐던 때를 제외하면 공휴일이나 명절, 방학 중에도 어김없이 진행됐다.

해당 스터디는 운영 초기에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고 “역사학과 학생이 아니어도 스터디에 참여할 수 있냐?”는 문의가 잇따랐다.

도중만 교수는 “학문은 공적으로 가르치고 공적으로 배워야 한다”며 해당 스터디를 열린 강좌로 개방했다.

10년째 <사기> 스터디에 나오고 있는 김춘자 씨는 매 수업 가장 먼저 도착해 준비하며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과제와 자료조사를 빠짐없이 하고 있다.

김 씨는 “수업을 통해 새로운 내용을 배울 때마다 나를 돌아보게 된다”며 “꿈이 있다면 수업에서 배운 지식과 지혜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이라고 말했다.

13년째 스터디에 나오고 있는 요양보호사 이광규 씨도 “중국의 역사를 연대별로 알아가는 재미에 빠져서 스터디를 계속하고 있다”며 “많이 배워서 중국 서적 번역 봉사 등을 해보고 싶은 소망이 있다”고 했다.

서예가인 양연호 씨 역시 2008년부터 빠짐없이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다.

양 씨는 “서예를 하면 한자를 화선지에 옮기는 수준이었는데, 글에 담긴 의미 등을 제대로 알고 쓰는 깊이 있는 서예를 하고 싶어 스터디에 참여했다”며 “역사를 전공하는 젊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 따라가기 어렵지만 배움에 끝이 없듯이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양한 외부인의 스터디 참여는 학생들에게도 큰 자극이 되고 있다.

도중만 교수는 “그동안 스터디에 역사학과 학생 외에 목원대 교직원, 다른 학교 교수나 교사까지 많은 사람이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며 “이들의 배움에 대한 열정은 도리어 우리 역사학과 학생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목원대는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를 늘리기 위해 지식 봉사를 더 확대할 방침이다.

목원대는 현재 많은 교수가 학과별로 정규수업 외에 다양한 스터디를 통해 학생의 공부를 돕는 심화학습 ‘Q+클래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희학 목원대 총장은 “늦깎이 청강생들의 배움을 향한 열정은 우리 목원대 학생들에게 귀감이 된다”며 “그들은 목원대에 정식으로 입학한 적 없지만 10년 넘게 목원과 함께하는 ‘진정한 목원인’”이라고 격려했다.

이 총장은 이어 “재학생은 물론 외부인이 맘껏 수강할 수 있는 열린 강좌를 더 확대해 지역사회에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