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펜스… 미국 ‘기밀문서 유출 스캔들’ 일파만파

김현아 2023. 1. 25. 11: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서 시작된 정부 기밀문서 반출 의혹이 전직 대통령·부통령들의 '기밀문서 유출 스캔들'로 확산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저에서 연이어 기밀문서가 발견된 데 이어,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 역시 기밀문서를 자택에 보관해 온 사실이 드러난 것.

펜스 전 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사무실과 자택에서 기밀문서가 발견됐다는 사실을 접한 뒤 변호인단에 자신의 집에 있는 4박스 분량의 문서들을 검토해달라 요청했다고 CNN은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BI, 펜스 자택서 12건 회수
트럼프·바이든 이어 또 파장
바이든 재선 도전 대형악재로
민주당 지도부와 한자리 조 바이든(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24일 워싱턴DC의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상·하원 민주당 지도부를 초청,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바이든 대통령,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딕 더빈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서 시작된 정부 기밀문서 반출 의혹이 전직 대통령·부통령들의 ‘기밀문서 유출 스캔들’로 확산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저에서 연이어 기밀문서가 발견된 데 이어,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 역시 기밀문서를 자택에 보관해 온 사실이 드러난 것. 바이든 대통령이 민주당 지도부를 초청해 국가 부채한도 인상 문제를 논의하는 등 정책 이슈 몰이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가상 대선 양자대결에서 뒤처지는 결과가 나오는 등 유출 스캔들이 재선 도전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4일 CNN·BBC에 따르면, 지난 19일 미 연방수사국(FBI)은 펜스 전 부통령의 인디애나주 자택에서 12건의 기밀문서를 회수해갔다. 펜스 전 부통령의 변호인단이 먼저 기밀 문건이 있다고 국립문서관리보관소(NARA)에 통지했고, 이후 법무부에서 그에게 연락해 기밀문서를 반납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펜스 전 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사무실과 자택에서 기밀문서가 발견됐다는 사실을 접한 뒤 변호인단에 자신의 집에 있는 4박스 분량의 문서들을 검토해달라 요청했다고 CNN은 전했다.

지난해 8월 FBI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를 압수수색하며 공개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기밀문서 유출 의혹이 전·현직 대통령에 이어 부통령 등 고위 관계자들로까지 대상을 넓혀가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자신과 관련한 싱크탱크 사무실에 이어 자택 차고 등에서 기밀 문건이 발견되자 지난 20일 델라웨어주 자택을 13시간 동안 압수수색 당했다. 그 과정에서 ‘기밀’ 표시가 된 문건이 6건 이상 추가로 나오기도 했다. 애덤 시프 민주당 하원의원은 “전직 대통령과 부통령들이 집에 기밀 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데는 시스템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스캔들은 특히 재선 도전 선언을 앞두고 있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악재다. 에머슨대가 지난 19~21일 미국의 등록유권자 1015명을 대상으로 2024년 대선 가상 대결 조사를 진행한 결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지율 44%를 얻으며 바이든 대통령(41%)을 3%포인트 앞섰다. 특히 그가 현직인 데다, 민주당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밀 유출 의혹에 맹공을 펼쳤던 점이 마이너스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 하킴 제프리스 하원 원내대표를 백악관에 초청해 부채 한도 인상안을 논의했다.

김현아 기자 kimhaha@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