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태원 참사’ 뼈저린 교훈 얻은 경찰, 군중혼잡도 실시간 측정 기술 확보 추진

이종현 기자 2023. 1. 25.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찰과 과학계가 손잡고 군중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인파 관리의 중요성을 깨달은 정부가 뒤늦게나마 혼잡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 것이다.

다중운집 혼잡도 측정 기술 외에도 경찰기동대 안전헬멧 개발, 경찰특공대 도심형 대테러 작전복 개발, 영상증거수집 확보를 위한 안면 비식별화 기술 개발도 지원 후보에 들어갔다.

경찰청과 과기정통부가 함께 군중 혼잡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 이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촉진 사업 일환
지금은 일일이 눈으로 세는 방법뿐… 군중 혼잡도 측정할 기술 없어
이동통신 데이터 바탕으로 5분 안에 혼잡도·위험도 평가

경찰과 과학계가 손잡고 군중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인파 관리의 중요성을 깨달은 정부가 뒤늦게나마 혼잡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 것이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도 기초·원천연구성과 치안분야 기술실용화 과제로 ‘다중운집 이동통신 가입자 기반 혼잡도 측정 기술 개발’이 포함됐다. 이 사업은 과학치안 연구 성과를 실제 치안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경찰청과 과기정통부가 함께 손을 잡고 작년부터 시작한 것이다.

서울 마포구 홍익대 정문 인근 골목에서 시민활동가들이 이제석 광고연구소가 제작한 압사 사고 위험구간 표지판을 시범 부착하고 있다. /뉴스1

과학치안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촉진 사업은 바로 치안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돕는 단기 치안R&D 기술실용화와 유망 기초·원천 연구성과를 발굴해 관련 기업과 함께 사업화에 나서는 ‘기초·원천연구성과 치안분야 기술실용화’로 나뉜다. 다중운집 인파의 혼잡도 측정 기술 개발은 기초·원천연구성과에 들어갔다.

다중운집 혼잡도 측정 기술 외에도 경찰기동대 안전헬멧 개발, 경찰특공대 도심형 대테러 작전복 개발, 영상증거수집 확보를 위한 안면 비식별화 기술 개발도 지원 후보에 들어갔다. 과기정통부는 이 중 1개를 제외한 1개 기술을 선정해 앞으로 3년 반 동안 예산을 투입해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직 선정 작업이 남았지만 이태원 참사 재발이 정부 차원의 중요한 과제인 만큼 다중운집 혼잡도 측정 기술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작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의 주된 원인으로는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좁은 골목길에 몰린 것이 꼽힌다.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에 인태원 음식문화거리 군중 밀도는 1제곱미터(㎡)당 9.74~12.09명에 달했다. 영국 서퍽대 연구진은 1㎡에 6명만 모여도 사람이 몸을 가누기 힘들다고 봤는데 두 배나 되는 인원이 밀집한 셈이다. 이렇게 많은 인파가 몰리는데도 경찰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제대로 된 인파 관리에 나서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

경찰 안팎에선 애초에 군중 혼잡도를 측정할 방법 자체가 없는 게 근본적인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경찰이 밀집도를 측정하는 건 눈으로 일일이 사람의 숫자를 세는 방법 뿐이다. 1평(3.3㎡)에 평균적으로 성인 4~6명이 서 있을 수 있다고 보고 1평에 서 있는 인원에 집회 면적을 곱해 집회 참석 인원을 추산하는 게 유일한 방법이다. 이런 식으로 정확한 혼잡도를 계산할 수도 없고 인파 관리도 허술할 수밖에 없다.

경찰청과 과기정통부가 함께 군중 혼잡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 이유다. 경찰청 관계자는 “특정 지역에 이동통신 가입자가 몇 명이나 있는지 이동통신사는 알 수 있기 때문에 이 정보를 해당 지역의 지도 데이터에 접목해 혼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지역의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금도 이동통신사는 특정 지역에 몇 명의 가입자가 있는지 정도의 정보는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해당 지역의 구체적인 지도 데이터에 접목한 자료는 이동통신사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다 이동통신사가 현재 제공하는 자료는 시간차이가 30분 정도가 발생해 위험도 측정에는 다소 부적합하다는 게 경찰청과 과기정통부의 판단이다. 경찰청은 시차를 5분 정도로 줄여서 사실상 실시간에 가깝게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이동통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혼잡도를 1차적으로 계산한 뒤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현장의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충돌이 있는지, 사람들이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등을 따져 2차 혼잡도를 계산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