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규제 완화에도 부동산시장 장기 침체…전망은?

김성구 2023. 1. 24. 18: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연 :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

명절 연휴, 집값 얘기는 빼놓을 수 없는 화두죠.

하지만 집값 전망을 두고는 서로 얘기가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정부의 규제 완화가 효과가 있을 것인지 부동산 시장을 전망해보겠습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 어서 오세요.

<질문 1> 설 연휴 가족끼리 모였지만 집값 얘기는 피하자는 말들이 나옵니다. 각자 사정이 다르고 집값 전망도 달라 말씨름하는 일이 빚어지기도 하는데요. 금리인상과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재 어떤 경향이 포착되고 있나요?

<질문 2> 시장 분위기기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으면서 고점 대비 반값 아파트가 서울 주요 단지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일명 손절매 거래가 나타나고 있는 건데요. 송파구 대단지인 헬리오시티에서 3억 이상 손절매가 3건이나 나왔다고요?

<질문 3> 정부의 1·3 규제 완화 이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소폭 회복하면서 집값이 바닥을 쳤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반기에도 하락세가 계속될 거란 분석인데요. 서울 안에서도 집값 양극화가 심화할 거라 보세요?

<질문 4> 전셋값 낙폭도 커지고 있습니다. 높은 대출금리와 역전세로 임대차 시장에 월세 전환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전세 사기에 대한 우려도 월세 선호 현상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주거비 부담이 더욱 커질 우려가 있어 보여요?

<질문 5> 지방 부동산 경기는 더욱 차갑게 식었습니다. 대구의 한 아파트 청약에서 500세대 가까이 모집하는데 30명도 안 왔다는 소식도 있는데요. 규제 완화 움직임이 지방에는 오히려 악재가 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와요?

<질문 6> 정부가 서울 용산과 강남 3구를 뺀 모든 곳의 규제지역을 풀었죠. 다주택자 세 부담을 완화하고 일시적 2주택자의 주택 처분 기한도 늘렸습니다. 소득 제한 없는 특례보금자리론도 도입했지만 뚜렷한 거래 증가를 체감하기 어려운데요. 금리 변화가 없는 한 지금 같은 관망세가 계속될 거라 보세요?

<질문 7> 일부에서는 이번 정부의 부동산 상황과 그에 따른 대책이 15년 전과 놀랄 만큼 닮았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하지만 그 전망에 대해서는 과거처럼 L자형 침체가 올지, 소폭이라도 회복할 수 있을지 의견이 나뉘고 있는데요. 어느 쪽의 전망이 더 우세할까요?

<질문 8> 세계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라 부동산 침체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집값이 하락하자 이 기회에 내 집 장만에 나서라는 얘기도 나오는데요. 이런 시장 상황에서는 어떤 투자전략이 적절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