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 톡!] 이터널리턴 시즌8, 루미아 섬 유력 우승 후보들

서동규 객원기자 2023. 1. 23. 11: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패치 3일차 통계 “좋은 실험체엔 좋은 리턴이 따른다”

게임 내에서 자신이 사용할 캐릭터를 정하는 건 참 고민되는 일입니다. 성능과 애정 사이 갈등도 있지만 지속적인 밸런스 패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죠. 본인이 사용하는 캐릭터가 영원히 좋을 수도, 영원히 나쁠 수도 없습니다.

카카오게임즈의 이터널 리턴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존하는 62명 실험체들은 성능이 지속적으로 변경됩니다. 개성 넘치는 실험체들이 루미아 섬에서 기다리고 있죠.

랭크 게임으로 들어가면 실험체에 대한 애정도 중요하지만 자연스럽게 성능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자신이 플레이하는 실험체에 압도적인 자신감이 있지 않는 이상 밸런스 패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기자 또한 이터널 리턴을 꾸준히 즐겨온 유저 중 한 명입니다. 주력 실험체인 라우라로 랭크 게임을 플레이하려 했으나 19일 진행된 0.76패치에서 라우라가 너프되었죠. 자신이 애용하는 주력 실험체가 변경이 된다면 다른 실험체로 눈을 돌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

플레이 경험이 중요하지만 통계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죠. 기자가 직접 통계 사이트에서 실험체 별 성적을 찾아 꿀 실험체를 선별해 보았습니다. 19일부터 21일까지 수집된 통계가 바탕입니다.

20일, 핫픽스로 '다니엘', '제니', '하트', '아이솔'에 대한 하향 조정이 이뤄졌기에 이 실험체들은 목록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통계로 정리한 솔로, 듀오, 스쿼드 꿀 실험체들 목록들을 함께 공유해 보겠습니다.

 

■ 솔로 모드 꿀 실험체 "안정성, 기동성"

- 솔로 모드 실험체 추천 (출처 :aya.gg 21일 통계)

솔로 모드는 전장에서 사망하는 것이 아니라면 죽는 순간 게임 종료입니다. 게임 내 변수 예측이 어려운 모드죠. 따라서 기동성이나 안정성을 통해 변수에 대처할 수 있는 실험체가 강세를 보입니다.

솔로는 듀오나 스쿼드와는 달리 실험체 간 상성이 명확한 편입니다. 꿀 실험체라고 방심하지 말고 충분한 연습과 상성을 바탕으로 플레이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레이피어 피오라는 안정적인 꿀 실험체입니다.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이동기, 스킬 증폭과 기본 공격을 고루 사용할 수 있는 다양성, CC기를 통한 폭딜 요소까지 겸비하고 있습니다.

교전에 강점을 보이니 야생 동물 위주 플레이보단 적극적으로 교전을 여는 게 주효합니다. 교전을 통해 킬을 획득하고 전설 아이템을 보강해나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창'이나 '양손검'을 사용하는 피오라는 현재 레이피어 피오라에 비하면 강점이 보이지 않네요.

레이피어 키아라는 궁극기를 사용했을 때 강력한 교전이 메리트입니다. 치명타 빌드와 스킬 증폭 빌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현재는 스킬 증폭 키아라가 더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W 스킬을 통한 실드와 R 스킬로 인한 폭딜로 킬 캐치가 좋습니다. 주력 기술인 Q 스킬도 대상 바로 앞에서 사용하면 빗나갈 일이 없기에 딜 손실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에요. 궁극기가 있는 상황일 때 교전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권총 로지는 가장 공격적인 실험체 중 하나입니다. 반타작률을 확인하면 추천한 실험체들 중 가장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초반 교전이 워낙 강력한 실험체기에 하이에나 같은 사고율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트럭 운영이 가장 어울리는 실험체입니다. 이동 기술이 많고 근거리 실험체들 상대로 일방적인 카이팅이 가능하죠. 다만 자신보다 사거리 긴 실험체들 상대로는 접근이 상당히 어려우니 정면 승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암기 클로에는 강력한 지속 딜링과 높은 가치를 가진 궁극기가 매력적인 실험체입니다. 난도가 좀 어려운 실험체 중 하나이기에 비교적 다루기 쉬운 평타 빌드 성적이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교전에서 압도적인 가치를 자랑하는 궁극기를 통해 일방적인 딜링이 가능합니다. 니나가 먼저 처치당하거나 궁극기가 빠진 상태라면 상당히 취약해지기에 해당 타이밍을 조심할 필요가 있어요. 궁극기 유무와 니나 체력 상태를 주시하면서 교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듀오 모드 꿀 실험체 "조합의 중요성"

- 듀오 모드 실험체 추천 (출처 :aya.gg 21일 통계)

듀오 모드부터는 팀원과 조합을 맞춰 상성을 보완하는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내 실험체 단점은 채워주고, 장점은 극대화해줄 수 있는 실험체끼리 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입니다. 

꿀 실험체 선택이 중요하지만 팀원 간 협동이나 운영 방법이 슬슬 핵심으로 떠오릅니다. 게임 시작 전 충분한 상의를 통해 어떠한 방향으로 플레이를 해나갈지 정한다면 분명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으리라 자신합니다.

아르카나 요한은 아군 보조에 특화된 서포터 실험체입니다. 순간적인 힐링과 무시할 수 없는 딜링으로 팀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전설 아이템 의존도도 낮은 편이기에 아군에게 아이템을 몰아줄 수 있습니다.

주로 '재키'나 '카밀로', '윌리엄'같은 혼자서도 충분히 딜링을 감당할 수 있는 실험체와 궁합이 좋습니다. 해당 실험체들에게 필요한 진입 시 안정성이나 위기에 직면했을 때 케어를 요한이 모두 감당해 줄 수 있어요.

채찍 마이는 딜과 탱킹이 모두 가능한 만능 서포터입니다. 마이만이 제작할 수 있는 전설 아이템들은 다른 상의에 비해 월등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요. 자연스럽게 고점이 높아지는 셈입니다. 파일럿 숙련도에 따라서 성능이 달라지기에 충분한 연습이 필요한 실험체에요.

마이가 가진 가장 큰 장점으로는 어느 조합과도 잘 어울린다는 사실입니다. 물론 '요한'이나 '프리야', '테오도르'같은 서포팅 위주 실험체는 제외입니다. 마이가 가진 세이브 능력이나 탱킹 요소를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한 실험체입니다.

아르카나 엠마는 후반 기댓값이 높습니다. 실험체 난도가 상당히 어려운 편에 속하기에 충분한 연습 후 랭크 게임에서 플레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종이와도 같이 연약한 몸을 지녔지만 트릭키한 플레이와 다양한 변수를 만들 수 있는 실험체에요.

게임 후반으로 진행된다면 정말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초반 교전에는 킬까지 이어지는 시간이 너무 긴 편이에요. 교전보단 야생 동물을 통한 안정적인 성장과 상성을 통해 적을 잡아먹는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톤파 레온은 비교적 최근에 추가된 무기군입니다. 기존 글러브를 사용하는 레온에 비해 무기 스킬로 인한 안정성이 있다는 것이 장점이에요. 이를 통해 아군 보조와 딜탱 역할에 더욱 강점이 드러났습니다. 이번 패치 톤파 레온에 대한 상향도 존재했기에 더욱 메리트가 생기기도 했죠.

숙련되기까지 어려운 실험체가 아니기에 추천하는 실험체 중 하나입니다. 모든 지표가 고르게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톤파 레온에 대한 거부감이 들었다면 이번에 플레이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 스쿼드 모드 꿀 실험체 "포커싱이 중요해지는 순간"

- 스쿼드 모드 실험체 추천 (출처 :aya.gg 21일 통계)

스쿼드 모드는 3명이서 진행하기에 조합 완성도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 말은 상대방에 전략에 있어 핵심을 담당하는 실험체가 있다는 것이죠. 스쿼드 모드는 그래서인지 포커싱이나 딜링에 강력한 실험체가 좋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대부분 교전이 3 vs 3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상대방 조합에 있어 핵심인 실험체를 처치한다면 큰 우위를 가져올 수 있겠죠. 듀오와 마찬가지로 실험체도 중요하지만 운영과 협동을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레이피어 카밀로는 강점이 뚜렷한 실험체입니다. 돌진기인 E 스킬과 레이피어 무기 스킬을 통한 포커싱이 가능합니다. R 스킬을 통한 어그로 분산과 순간적인 탱킹 또한 가능하죠. 스킬 구성이 스쿼드에서 활약하기 좋습니다.

실제로 꿀 실험체들 중에서도 픽률 1등, 모두에게 이미 사랑받고 있음을 증명한 셈이죠. 적 주요 실험체를 포커싱 하며 본인이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스쿼드에서 브루저로 활약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험체입니다.

단검 재키는 쉬운 난도와 포커싱이 강점입니다. 딜링 방식이 어렵지 않기에 유저 간 성능 차이가 적은 편이에요. 단검 특유 높은 이동 속도와 순간 딜링도 상대 실험체를 포커싱 하기 좋은 구성이에요.

좋은 기동성과 우수한 맞딜 능력은 교전에 있어 큰 도움이 됩니다. 안정적인 오브젝트 버스트와 좋은 흡혈 능력은 위클라인 교전이나 상대 탱커형 실험체와 교전할 때 큰 장점을 지니죠. 입문이 쉬운 실험체이니 조금만 다뤄도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투척 윌리엄은 긴 사거리와 강한 딜링이 강점인 실험체입니다. 적 실험체가 근접해도 W와 E 스킬을 활용해 대응이 가능하죠. 이번 패치 너프가 진행되었지만 그럼에도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어요. 자신 뒤에서 든든하게 뒤를 지켜주는 윌리엄을 보면 이렇게 든든할 수가 없습니다.

난도는 쉬운 편이 아니기에 충분한 연습을 필요로 합니다. Q 스킬과 E 스킬을 사용하는 판단력이 필요하기에 파일럿에 따른 편차가 있죠. 실험체가 익숙해진다면 그때부터 랭크 게임에서 플레이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권총 로지는 솔로에 이어 스쿼드에서도 한자리를 차지했습니다. 로지라는 실험체가 현재 솔로, 듀오, 스쿼드 모두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어요. 압도적인 1티어는 아니더라도 든든한 1.5티어 라인을 지키고 있습니다.

R 스킬로 인한 순간 폭딜과 포지셔닝에 가지는 강점으로 스쿼드에서도 좋은 활약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W 스킬에 존재하는 치유 감소 효과도 스쿼드에서 치유 감소 아이템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요. 사거리 문제만 극복한다면 정말 좋은 실험체입니다.

 

■ 좋은 실험체와 좋은 운영이 함께라면 "랭크 상승"

- 이터널 리턴 실험체 추천 정리

이터널 리턴을 플레이하는 유저분들이라면 이 말에 공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절대란 없다"라는 말이죠. 실험체 간 상성도 성장 차이에 따라 극복할 수 있고 운영법이 정해지더라도 변수가 생기면 계획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언제든 자신이 세웠던 계획과 달라질 수 있어요. 그 상황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게임을 풀어 나가는 것이 이터널 리턴 랭크 게임 핵심입니다. 배틀 로얄이라는 장르 특성상 항상 1등을 거머쥘 순 없어요. 평균 성적을 끌어올리는 것이 티어를 상승시키는 지름길입니다.

위 실험체들 외에도 랭크 게임에서 가치 있는 실험체는 많습니다. 본인이 자신 있는 실험체가 가장 좋은 성적을 보여줄 확률이 높겠죠. 다만 게임 내 상황에 따라 너무 큰 리스크를 지닐 가능성이 있기에 꺼낼 수 있는 카드가 많을수록 유리한 것이 사실입니다.

랭크 게임에서 당하는 사고를 예방하려면 항상 변수를 줄이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저들이 항상 기본이라고 강조하는 CCTV, 감시 카메라와 같은 시야 확보는 가장 효과가 좋죠. 주변 상황을 바로 인지할 수 있기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좋은 실험체도 중요하지만 변수를 줄여나가는 '근거 있는 플레이'를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즌8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으니 유저 여러분도 원하는 티어에 도달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presstoc01@gmail.com

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