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주산업, GDP의 고작 0.1%…‘돈되는 사업’ 언제쯤? [갈길 먼 K-우주②]

2023. 1. 23. 10:2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7년 이후 4년 연속 매출액 감소
국가 사업 주도로 기업 활동 폭 좁아
한화, KAI 등 중장기 비전 제시
밀양아리랑 우주천문대 야외광장에 설치된 누리호 축소모형이 우뚝 서 있다. [사진=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한영대 기자] 우리나라 기업의 우주산업 매출액이 명목 총생산액(GDP)의 0.1%를 간신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중심의 우주산업 기반 조성에 치우친 결과다. 여기에 정부의 열악한 지원도 매출에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누리호 발사 성공을 계기로 우주산업이 궤도에 오른 만큼 민간 주도 경쟁력 강화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4년 연속 우주분야 매출액 감소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발간한 ‘2022 우주산업실태’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주산업에 참여한 기업의 우주분야 총 매출액은 2조5697억원이다. 2017년 3조3931억원을 기록한 이후 4년 연속 감소했다. 연간 국내 명목 GDP(2057조원, 2021년 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2%에 불과하다.

2021년 이전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2015~2020년까지 국내 명목 GDP에서 기업들의 우주분야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0.2%를 초과하지 않았다.

수출 분야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21년 기준 우주산업에 참여한 기업체의 수출액은 6053억원으로 전년(6865억원) 대비 12% 감소했다. 수출에서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93.3%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위성체 제작(4.5%), 발사체 제작(1.5%), 지상장비(0.3%) 비중은 한 자릿수에 불과하거나 1%를 넘지 못했다.

"한국 우주산업 이제 태동기 지나"

기업 매출 규모가 적은 데는 그동안 국가가 우주산업을 주도한 데 따른 영향이다. 우주분야 후발주자인 우리나라는 이른 시일에 성과를 내고자 자연스레 정부 주도로 사업을 전개했다. 이런 탓에 민간기업은 우주산업 전반을 이끌지 못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우주 산업 발전 단계를 크게 태동기와 정착기, 성숙기 등 3단계로 구분한다. 태동기는 정부 주도로 산업 기반이 조성되는 단계이다. 정착기부터 민간기업의 활동 범위가 커진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 우주 산업이 태동기를 거쳐 정착기로 넘어가는 단계라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이 부족했던 점도 기업들의 성장에 타격을 줬다. 과기정통부, 공공기관 경영정보 시스템 알리오(ALIO)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우주 예산은 4억달러(약 5000억원)로 전년 대비 22.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 국가 중 유일하게 예산이 줄었다.

이형진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우주에 관심을 둔 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기업들의 매출은 적을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위성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우주 선진국가를 많이 추격했다. 하지만 발사대의 경우 우주 선진국과 약 30년 정도의 기술 격차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KAI 강구영 사장이 비전선포식에서 중장기 매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KAI 제공]
우주시장 선점하려는 한화·KAI

여러 난관에도 우리나라 기업들은 우주산업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중장기 계획을 내놓고 있다. 한화가 가장 적극적이다. 한화는 우주산업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우고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1년 국내 유일 위성시스템 제조사인 세트렉아이의 지분 30%를 1090억원에 샀다. 한화시스템은 2020년 영국의 위성안테나 기술기업인 페이저솔루션을 인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고도화 사업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 사업을 수주했다. 이번 수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우주수송 서비스와 위성 활용 서비스, 우주탐사에 이르는 우주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11일 세계 7위의 항공우주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글로벌 KAI 2050’ 비전을 선포했다. 선포식에서 기존 중·대형 중심의 위성 플랫폼을 소형 ·초소형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KAI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지자체 및 유관대학을 중심으로 맞춤형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yeongdai@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