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꿈치 아프다면 '족저근막염' 가능성…"초기에 잡아야"

유승현 기자 2023. 1. 23. 07: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발뒤꿈치가 많이 아프다 싶으시면 '족저근막염'은 아닌지 한번 의심해보셔야겠습니다.

흔한 질환인 만큼 내버려두기도 쉬운데, 초기에 치료를 잘하시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김현숙 씨는 10년 전부터 왼쪽 발뒤꿈치에 심한 통증을 느꼈습니다.

오래 서 있거나 달리기 같은 운동을 많이 하거나, 발을 무리하게 사용하면 미세한 손상이 쌓여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발뒤꿈치가 많이 아프다 싶으시면 '족저근막염'은 아닌지 한번 의심해보셔야겠습니다. 흔한 질환인 만큼 내버려두기도 쉬운데, 초기에 치료를 잘하시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유승현 의학기자가 관련 내용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기자>

김현숙 씨는 10년 전부터 왼쪽 발뒤꿈치에 심한 통증을 느꼈습니다.

가족 식당에서 오랜 시간 서서 일해 왔는데, 서 있기조차 어려울 정도가 됐습니다.

[김현숙/족저근막염 환자 : 걷는 것 자체가 디딜 수가 없으니까 눈물도 나고 계속 이렇게 절면서 살면 어떻게 하나.]

뒤늦게 족저근막염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했습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앞쪽까지 이어지는 두툼하고 긴 조직으로, 발바닥 충격을 흡수합니다.

오래 서 있거나 달리기 같은 운동을 많이 하거나, 발을 무리하게 사용하면 미세한 손상이 쌓여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만도 위험 요인입니다.

네덜란드 연구에선 체질량지수가 국내 기준 비만에 속하는 27을 넘으면, 27 이하인 경우보다 족저근막염 위험이 3.7배나 됐습니다.

초기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칭을 하거나 뒤꿈치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고, 소염진통제도 효과적입니다.

통증이 계속되면 깔창을 쓰기도 하는데, 환자의 90%는 2~3개월 안에 낫습니다.

만성화되면 무릎, 허리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어 통증을 빨리 잡아야 합니다.

[한준우/정형외과 전문의 : 미세한 손상이 반복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이게 반복되기 전에 초기에 스트레칭이라든가, 신발을 변경한다든가(해서) 안 좋은 상황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스트레칭은 발가락을 몸쪽으로 당겨 30초 동안 발바닥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최소 세 번은 반복해야 합니다.

아침 첫걸음에 통증이 가장 심하니까, 잠에서 깨 걷기 전에 스트레칭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세경, 영상편집 : 윤태호, CG : 엄소민)

유승현 기자doctor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