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유니콘]⑦ 정해준 모노플랫폼 대표 “불법 주정차 문제, 휘슬 알림으로 해결… 교통흐름 개선도”

윤진우 기자 2023. 1. 23. 06: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별 흩어진 ‘주정차 단속 알림’ 통합
2021년 4월부터 서비스…지자체 중 24% 제휴
200만 다운로드, 차량 등록 110만대
“과태료 부과 막는 것보다 불법 주정차 해소 집중”
그래픽=손민균

“123가4567 차량 주정차 단속 예정입니다. 이동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가용 이용이 늘어나면서 불법 주정차는 교통 정체와 사고를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에서만 매월 14만~15만대의 차량이 불법 주정차로 과태료를 물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은 특정 지역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로 단속하는 고정형과 단속 인력이 이동하며 과태료를 부과하는 이동형으로 나뉜다. 고정형과 이동형 단속은 과태료 부과 절차가 동일하다. 1차로 불법 주정차 여부를 단속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불법 주정차가 계속될 경우 2차로 단속해 과태료를 확정하는 방식이다. 1차 단속 후 운전자가 빠르게 차를 옮길 경우 과태료는 부과되지 않는다. 이는 지자체의 불법 주정차 단속이 과태료 부과보다 교통 흐름 개선에 목적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단속 알림 애플리케이션(앱) 휘슬은 각 지자체가 제공하는 단속 알림을 한 번에 서비스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60만건의 불법 주정차 단속 알림을 보냈고, 110만대의 차량이 휘슬에 가입된 상태다. 운전자는 휘슬에 가입하지 않아도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 방문해 단속 알림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하지만 시·군·구별로 따로 관리되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알림을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지자체 홈페이지에 방문해 가입해야 한다. 휘슬은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각 지자체와 협업해 주정차 단속 알림을 한 번에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휘슬 앱을 만든 정해준 모노플랫폼 대표는 지난 19일 조선비즈와 인터뷰에서 “휘슬 앱은 단순히 주정차 단속을 피해 과태료를 내지 않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라며 “교통 정체와 사고 등을 유발하는 불법 주정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라고 했다.

휘슬은 헬스케어·파이낸셜·정보기술(IT) 사업을 진행 중인 헥토그룹의 사내 스타트업인 모노플랫폼이 만든 서비스다. 헥토이노베이션 기획실장인 정 대표가 사내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선발되면서 모노플랫폼을 창업했다. 모노플랫폼은 지난 2021년 4월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휘슬을 선보인 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서비스 시작 21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수 200만(2023년 1월 기준)을 넘었고 누적 회원가입 수 136만명, 차량 등록 수 110만대를 넘었다. 휘슬은 현재 경기도 안양시와 남양주시, 부산시 해운대구, 제주도 제주시 등 41개 지자체의 주정차 단속 알림을 서비스하고 있다. 정 대표는 “그동안은 서비스 안정화와 확대 전략 등을 위해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과의 제휴에 집중했다”라며 “지난해 말부터 서울 지자체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올해부터 서울 지역 서비스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했다.

그래픽=손민균

정 대표는 불법 주정차는 교통 정체와 사고 등을 유발하는 만큼 단속보다 불법 주정차 문제를 빠르게 해소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에서 불법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단속보다 불법 주정차 차량을 빨리 이동시켜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라며 “휘슬 통계를 보면 주정차 단속 알림이 가장 많은 장소는 음식점 주변과 시장 등으로 나타났다”라고 했다. 정 대표는 “은행과 병원, 약국 등 상가 주변에서 발생하는 단속 알림도 전체 28.4%에 달했다”라며 “해당 지역의 불법 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과태료 부과 대상이라는 알림을 통해 차량을 이동하도록 계도해야 한다”라고 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문제도 풀어야 할 숙제라고 정 대표는 설명했다. 그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는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 만큼 더욱 심각하게 관리해야 한다”라며 “불법 주정차된 차량 사이로 어린이가 뛰어나올 경우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문제가 시급하게 해결돼야 한다”라고 했다.

정 대표는 “전국 250여개 지자체 가운데 169개 지자체가 개별적인 불법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라며 “신청 지역을 벗어나면 알림을 받을 수 없어 개별로 가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게 사실이다”라고 했다. 이어 “휘슬은 통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휴된 모든 지자체의 알림을 받을 수 있다”라며 “휘슬은 41개 지자체(약 24%)의 단속 알림을 통합해 제공하고 있으며,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했다.

정 대표는 단속 알림을 가장 많이 선택한 지역으로 경기도를 꼽았다. 그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단속 알림을 받은 차량은 약 21만대로 전체 회원 수의 22%가 단속 알림을 받았다”라며 “인구와 등록 차량이 많은 경기도가 가장 많았고, 이 가운데 수원시와 화성시 지역의 가입 비율이 높았다”라고 했다. 경기도와 함께 부산시와 제주시의 가입자 비율도 많다는 게 정 대표의 설명이다.

그래픽=손민균

그는 단속 알림 지역이 지방과 일부 수도권으로 제한된다는 지적에 “서비스를 처음 시작할 때는 전국 단위의 단속 알림을 제공하다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라며 “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은 도시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장했고, 1년 6개월간 충분한 노하우와 경험을 쌓은 만큼 지난해 말부터 서울 지자체 제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라고 했다.

정 대표는 휘슬을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휘슬 앱에 대해 ‘벌금을 물려야지 왜 사전에 단속 여부를 알려주냐’는 반대 여론과 ‘알림을 통해 불법 주정차가 해소되고 있다’는 여론으로 나뉘는 걸 잘 안다”라며 “휘슬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불법 주정차로 인한 피해를 막고, 단속보다는 계도를 통한 원활한 교통 흐름을 만드는 것에 목적이 있다”라고 했다. 이런 순기능은 많은 지자체가 함께 참여할 때 가능하기 때문에 지자체의 적극적인 제휴가 필요하다고 정 대표는 덧붙였다.

정 대표는 휘슬을 주정차 단속 알림을 넘어 리콜 정보 알림, 법률 상담, 차 번호 기반 커뮤니티 등 자동차와 관련 종합 서비스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그는 “휘슬은 여러 대의 차량을 등록하거나 단속 알림을 받은 경우 근처에 있는 주차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다”라며 “운전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통과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를 추가해 휘슬을 운전자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정 대표는 “휘슬 서비스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으면 사실상 불가능한 서비스로, 제휴를 맺고 주정차 알림 서비스를 열어준 41개 지자체에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라며 “휘슬을 지자체와 스타트업이 함께 만든 성공 스토리로 완성해 운전자와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로 만들겠다”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