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재개발 언제…재해 때마다 대피소 오가는 주민들

조희연 2023. 1. 21.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 화재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소방과 경찰은 전날 발생한 구룡마을 화재 원인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방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은 적다고 보지만, 이를 배제하지 않고 조사를 이어갈 것”이라며 “정확한 원인 파악까지는 3∼4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일 화재가 발생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에서 소방 관계자들이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도 전날에 이어 이날 오전 구룡마을을 찾아 복구 현황을 점검했다. 현장에는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과 조성명 강남구청장이 동행했다.
설 연휴를 앞두고 화마를 만난 구룡마을 주민들을 위로하는 손길도 이어졌다. 강남구는 이날 구룡마을 주민들에게 떡국 떡과 육수를 나눠줬다. 구는 기업들과 협의해 마을이 복구된 후 재입주할 주민들에게 가재도구나 생필품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구룡 토지·주민협의회도 설날인 22일 친척 집에 가지 않고 마을에 남는 주민을 위해 떡국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0일 화재가 발생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현장을 찾아 상황 보고를 받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2009년 이후 화재만 16건…임시대피소 오가는 주민들

전날 오전 6시27분쯤 구룡마을 4구역에서 시작된 화재는 인근 구역으로 퍼지며 약 5시간20분 만인 오전 11시46분쯤 완전히 꺼졌다. 이번 화재로 주택 약 60채를 포함해 총 2700㎡가 소실됐고, 주민 약 500명이 대피했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이재민은 총 43가구에서 60명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민 대다수는 강남구 조치에 따라 관내 호텔에 머물고 있다. 강남구는 이후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보유하고 있는 위례지구 내 임대주택으로 임시 거처를 옮길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3월에도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택 11채가 탔고, 인근 대모산까지 불이 번져 산림 일부가 소실된 바 있다. 2009년부터 이번까지 구룡마을에서 발생한 화재만 최소 16건에 달하고, 2014년 11월에 발생한 화재로 주민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지난 20일 화재가 발생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 일대가 잿더미로 변해있다. 왼쪽 아래 소방차들이 낙후한 도로 환경 탓에 멀찍이 주차되어 있다. 연합뉴스
구룡마을은 ‘떡솜’으로 불리는 단열재를 사방에 두르고, 내부는 비닐과 스티로폼 등 불에 잘 타는 물질로 덮여 있어 화재에 취약한 구조다. 집들이 서로 붙어있는 데다 LPG 가스통과 연탄, 문어발식으로 얽혀 있는 전선으로 인해 불이 나면 대형화재로 번질 우려가 있고 진화도 쉽지 않다.

지난해 8월 집중호우 때는 구룡마을 주택들이 침수되면서 1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기도 했다. 화재나 침수가 있을 때마다 주민들은 임시거주시설로 대피했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열악한 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철거민 모여 형성된 마을…12년간 재개발 지지부진

구룡마을은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린다. 서울올림픽을 앞둔 1988년 정부가 도시 미관을 해친다며 벌인 대대적인 빈민가 철거작업으로 삶의 터전을 잃은 철거민들이 이주해 형성됐는데, 아직까지 무허가 판자촌으로 남아 있다.

강남구에 따르면 2011년까지 이곳 주민들은 사유지를 ‘불법점거’ 했다는 이유로 전입신고조차 할 수 없다가, 행정소송에서 승소하면서 2011년 5월2일부터 강남구에 전입신고를 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일 화재가 발생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에서 소방관들이 진화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입신고 허용으로 주민들이 임대주택을 받을 수 있게 돼 공영개발이 가능해졌지만, 약 12년이 지난 현재까지 구룡마을 재개발은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태다.

2011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강남구에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을 하면서 구룡마을 개발의 첫발을 뗀 바 있다. 당시 서울시는 구룡마을 25만여㎡에 임대 1250세대를 포함한 총 2793세대의 주택을 짓겠다는 내용의 정비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보상과 개발 방식 등을 두고 무허가 주택 주민과 토지주, 시와 강남구 간 견해가 충돌하면서 사업 취소와 논의 재개를 반복하다가 결국 2014년 8월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해제됐다.

2014년 11월 구룡마을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서 2016년 12월 다시 한번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됐고, 시는 2020년 6월 실시계획 인가를 고시했다. 당시 시는 2022년 착공해 2025년 하반기까지 사업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임대냐 분양이냐를 놓고 시와 강남구가 또다시 불협화음을 내고 토지 보상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구룡마을은 아직도 판자촌으로 남아 있다.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