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뜨거운 감정을 담은 첩보 액션의 향연[MD칼럼]
[곽명동의 씨네톡]
1933년, 일제강점기 시대 경성. 항일조직 흑색단의 스파이인 유령이 비밀리에 활약하고 있다. 새로 부임한 경호대장 카이토(박해수)는 흑색단의 총독 암살 시도를 막기 위해 조선총독부 내의 유령을 잡으려는 덫을 친다. 그는 가짜 공지를 보내 절벽에 지어진 외딴 호텔에 5명의 용의자를 불러 모은다. 총독부 통신과 감독관 쥰지(설경구), 암호문 기록 담당 차경(이하늬), 정무총감 비서 유리코(박소담), 암호 해독 담당 천계장(서현우), 통신과 직원 백호(김동희) 중에 누가 유령인가. 기필코 살아나가 작전을 성공시켜야 하는 진짜 유령과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나머지 인물들 사이에 의심과 고발이 이어지면서 일촉즉발의 상황이 펼쳐진다.
고립된 공간에서 형성되는 여성의 연대
이해영 감독의 ‘유령’은 차갑게 시작해서 뜨겁게 끝난다. 밀폐된 곳에서 누가 유령인지 찾아내는 추리극으로 시동을 건 이 영화는 중반부 이후 기어를 바꿔 파워풀한 첩보 액션으로 화끈하게 질주한다. 어떻게 보면 이 영화는 ‘경성학교:사라진 소녀들’에서 이루지 못한 여성 연대의 끈끈한 우정을 다시 경성을 배경으로 부활시킨 것으로 보인다. ‘경성학교’에서 일본군에 붙잡혀 생체실험을 당하던 연덕(박소담)과 주란(박보영)은 학교를 탈출하지 못하고 비극적 최후를 맞는다. 외부와 차단된 공간, 두 여성의 우정이라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지만, ‘유령’은 한 발 더 나아가 더 많은 여성과 연결되며 항일의 최전선에서 목숨을 건다.
스타일리시한 액션과 장르적 쾌감
‘유령’의 뜨거운 감정은 이해영 감독의 전작 ‘독전’을 떠올리게 한다. ‘독전’은 누가 이선생인가를 놓고 경찰과 마약조직간의 대결을 숨막히게 그려냈는데, 캐릭터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는 ‘유령’ 속 인물들의 온도와 비슷하다. 강렬한 색감의 스타일과 강도 높은 액션 역시 ‘독전’ 못지않은 몰입감을 끌어올린다. 설경구와 이하늬가 호텔의 좁은 방에서 치고받는 맨몸 액션은 강렬한 타격감으로 흥미를 높인다. 이하늬는 충무로 ‘여전사’ 계보에 자신의 이름을 뚜렷하게 새겨 넣었다. 후반부에 일본군과 흑색단이 펼치는 대규모 총격신도 장르적 쾌감을 짜릿하게 선사한다.
성공하기 전까지 멈추지 않는다
이 영화의 원작은 중국 스파이 소설 ‘풍성’이다. 많은 제작사들이 눈독을 들였지만, 선뜻 나서지 못했다. 추리극에 집중된 원작을 첩보 액션 장르로 재탄생시킨 이해영 감독은 제목을 ‘유령’으로 바꿨다. 유령의 사전적 의미는 ‘죽은 사람의 혼령’이다. 일제강점기 시대 이름 없이 사라져간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기 위한 제목이다. 그들의 희생으로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하니까. 흑색단의 암호문은 영화 포스터로 전달된다. “유령에게 고함. 작전을 시작한다. 성공하기 전까지는 멈춰서는 안된다.” 일제강점기는 끝났지만, 친일파는 사라지지 않았다.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 영화에서라도 멈추지 않아야 한다.
[사진 = CJ ENM]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