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간 한국 미술 경매시장 1830배 커졌다
1998~2022 미술품 경매
총 2조5345억원 거래돼
20일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이사장 김영석)와 아트프라이스(대표 고윤정)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첫 미술품 경매사가 생긴 1998년의 약 1억8000만원 규모였던 경매시장 규모가 최대 규모를 보인 2021년 약 3294억까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년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변동 추이를 1998년(약 1.8억원)을 시작점으로 살펴볼 때, 고점은 2007년(약 1859억원), 2018년(약 2130억원), 2021년(약 3257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점은 2009년(약 659억원), 2013년(약 724억원), 2020(약 1163억원), 2022년(약 2361억원) 등이었다.
김영석 이사장은 “경매시장의 성장세를 급제동시킨 대표적인 3대 외부요인을 꼽는다면 ①2008 리먼브라더스 사태, ②2019 COVID19 발발, ③2022 기준금리 인상 등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집계 결과를 합산하면, 낙찰총액은 2조5353억9805만5456원, 출품작품 30만4846점, 낙찰작품 19만4044점이었다. 이번 조사범위는 국내에서 운영되어온 26개 경매사의 낙찰 결과를 연도별로 종합해 정리한 것이다. 다만, 연도별 통계 발표할 때 일정상 빠졌던 경매 결과는 포함되었고, 일부 비공개된 이브닝세일 결과는 제외된 것이다.
경매가 처음 시작된 1998년의 낙찰총액 1억8300만원을 시작점으로 보면, 10년 후인 2007년과 2008년 사이 유사 이래 가장 큰 폭인 10배 이상 급성장세를 보였다. 2008년 리먼 사태 이후에 침체기를 지속하던 중 2015년 국제시장에서 먼저 시작된 단색화 열풍에 힘입어 다시 전년도 대비 2배의 반등세를 보여줬다. 전 세계를 강타한 2019년 코로나19 펜데믹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매시장은 불과 2년 정도만 위축됐을 뿐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부터 2022년까지 낙찰총액 기준 100순위 작가를 비교해 보면 수요층의 변화에 따른 작가군 선호도 역시 크게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가령 2010년대 이전까진 작고작가나 일부 인기작가 중심의 전형적인 블루칩작가들이 낙찰총액 상위 순위를 기록했지만, 2020년대에 들어서는 새롭게 국내외 생존작가나 특정 젊은 작가들이 대거 중상위층으로 진입하는 현상을 보였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졸업생 95% 해외명문대 합격…“교과서 없이 토론으로 수업” - 매일경제
- “제발 우리 아파트 좀 사주세요”…금융위기 때보다 집 팔기 힘들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치즈버거 주문할게요“…바이든, 햄버거 가게에 전화한 이유 - 매일경제
- 연차 붙이면 최장 12일의 황금 휴가…가능한 시기는 언제? - 매일경제
- 직원들은 잘릴까봐 덜덜 떠는데…콘서트 즐긴 최고경영진들 - 매일경제
- 시동 건 목동 재건축…노른자는 5·7단지, 가성비는 12단지 - 매일경제
- “우크라이나 용병을 왜 여기서 모집해?”…러시아 우방도 ‘발끈’ - 매일경제
- 어닝쇼크 불안감 커지니…보험 통신주 쑥 - 매일경제
- [단독] ‘배터리 여권’에 LG엔솔·삼성SDI 참여…표준화 경쟁 본격화 - 매일경제
- 오지환 역대 유격수 최고액 사인, 윈-윈 계약으로 평가받는 이유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