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전자여권' 시행 추진 LG엔솔 이어 삼성SDI 참여
원재료 채굴 등 모든 정보 확인
中배터리사 압박수단 가능성도
글로벌 전기차·배터리업계가 추진하는 '배터리 전자여권' 사업에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삼성SDI도 참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배터리업계의 새로운 표준을 두고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전자여권이 중국 배터리사를 압박하는 새로운 수단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20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한 결과 삼성SDI는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얼라이언스(GBA)의 배터리 전자여권 개발 파일럿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배터리 전자여권이란 배터리 원재료 채굴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방형 전자 시스템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배터리 전자여권을 도입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며 "시스템 개발 업체 RCS글로벌과 협력해 다양한 차종에서 시험 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GBA가 주도하는 배터리 전자여권 사업은 배터리의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담은 플랫폼이다. GBA는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 전반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전자여권 사업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초안이 공개된 바 있다.
배터리 전자여권 사업에는 테슬라, 폭스바겐, BMW, 볼보, 스텔란티스 같은 완성차 업체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CATL 등 배터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배터리업계에서는 배터리 여권 도입이 피할 수 없는 절차라고 보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6년에 배터리 여권 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배터리 전자여권이 새로운 종류의 공급망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다보스포럼에서 기본 제원이나 온실가스 정보를 넘어 사업장 인권과 아동 노동 정보가 거론된 것은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배터리 전자여권 플랫폼에 어떤 정보가 얼마나 포함되느냐를 놓고 치열한 물밑 협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은 환경오염과 인권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중국 신장에서 생산되는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강제 노동과 인권 탄압이 그 이유다.
신장은 배터리 양극재의 주원료인 리튬의 대량 매장지이기도 하다. 중국의 주요 리튬 매장지는 신장웨이우얼자치구와 티베트, 그리고 그사이에 위치한 칭하이성이다. 이들 지역에는 염호와 경암형 리튬이 매장돼 있는데, 이 중 신장과 티베트는 인권 문제로 비판이 일고 있는 지역이다.
한편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자동차·기아와 SK온은 아직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SK온 관계자는 "SK온은 배터리 전자여권을 개발하는 GBA 회원사로 등록돼 있으며 아직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으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업계는 자사에 유리한 배터리 여권 환경을 갖추기 위해 SK온도 이르면 연내 배터리 전자여권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것으로 보고 있다.
[송민근 기자 / 정유정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졸업생 95% 해외명문대 합격…“교과서 없이 토론으로 수업” - 매일경제
- “제발 우리 아파트 좀 사주세요”…금융위기 때보다 집 팔기 힘들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치즈버거 주문할게요“…바이든, 햄버거 가게에 전화한 이유 - 매일경제
- 연차 붙이면 최장 12일의 황금 휴가…가능한 시기는 언제? - 매일경제
- 직원들은 잘릴까봐 덜덜 떠는데…콘서트 즐긴 최고경영진들 - 매일경제
- 어닝쇼크 불안감 커지니…보험 통신주 쑥 - 매일경제
- “이런게 윤핵관 행태” 나경원에 기시감 느낀다는 이준석 - 매일경제
- ‘푸틴의 터미네이터’가 안 되기를…전투로봇, 우크라전 투입되나 - 매일경제
- 中서 철강주문 밀려드니…뜨거운 포스코·현대제철 - 매일경제
- 오지환 역대 유격수 최고액 사인, 윈-윈 계약으로 평가받는 이유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