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코로나19 3년, 우리가 잃은 것/이현정 세종취재본부 차장

이현정 2023. 1. 20. 0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일로 코로나19 3년을 맞았다.

온전한 일상회복이 단지 마스크를 벗고, 격리 조치 없이 어디든 자유롭게 여행하는 코로나19 이전으로의 회귀를 뜻하는 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지난 3년간 집단적 상실을 경험했고, 코로나19 초기에는 확진자에게 낙인까지 찍어 가며 타인의 상처를 후비고 방관했으며, 나와 가족의 안전을 위협하는 모든 것을 적대시하곤 했다.

진정한 일상회복으로 나아가려면 먼저 코로나19가 남긴 우리 주변의 상흔을 치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현정 세종취재본부 차장

20일로 코로나19 3년을 맞았다. 낯선 바이러스가 할퀸 1095일간 우리는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달라진 일상을 견뎌 내야 했다. 우리 곁의 누군가는 가족을, 또 누군가는 소중한 삶을 잃었다. 바이러스는 소년에게선 놀이터를, 청년에게선 희망을 앗아갔다.

하지만 정작 공동체의 삶을 폐허로 만든 건 소설 ‘페스트’의 쥐떼처럼 끊임없이 출몰한 바이러스가 아니었다. 무너진 일상에 대한 낙담으로 질병을 향해야 할 혐오가 주변의 이웃을 겨냥했고, 그 빈틈을 바이러스는 무참하리만큼 끈질기게 파고들었다. 바이러스가 무서운 속도로 약자부터 집어삼키는 동안 그저 오늘도 살아남았음에 자위했다. 시민의 공동체는 무너졌고, 동네 꼬마들이 뛰놀던 왁자지껄한 골목길의 온기가 사라졌다.

그 긴 바이러스의 터널을 서서히 지나 마침내 우리는 완전한 일상회복의 문턱에 섰다. 얼굴을 가렸던 마스크를 벗고 살아갈 날이 머지않았다. 일상의 고투에 더 주름진 입가, 무표정하게 굳어 버린 얼굴들을 더 적나라하게, 더 자주 마주하게 될 테다. 보이지 않아 외면할 수 있었던 너와 나의 민낯이다.

온전한 일상회복이 단지 마스크를 벗고, 격리 조치 없이 어디든 자유롭게 여행하는 코로나19 이전으로의 회귀를 뜻하는 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지난 3년간 집단적 상실을 경험했고, 코로나19 초기에는 확진자에게 낙인까지 찍어 가며 타인의 상처를 후비고 방관했으며, 나와 가족의 안전을 위협하는 모든 것을 적대시하곤 했다. ‘공존’, ‘공생’이라는 용어가 빛을 잃었고 그 자리를 각자도생이 대신했다. 유럽, 동남아행 여행 티켓이 불티나게 팔리는 사이 수원의 세 모녀가, 신촌 모녀가 생활고로 숨졌다.

우울감은 역병보다 빠른 속도로 번지는 중이다. 정부의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보면 우울 위험군 비율은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3.2%에서 지난해 18.5%로, 자살 생각률도 같은 기간 4.6%에서 11.5%로 급증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야기 나눌 사람이 있다’는 답변은 91.5%에서 89.5%로 줄었다. 서울시 조사 결과 도움을 구할 사람이 없고 외출도 하지 않는 고립·은둔 청년이 서울에만 13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자살률은 큰 재난을 겪고서 2~3년 뒤에 크게 오른다. 모두 일상으로 돌아간 듯한데 나만 코로나19가 만든 수렁에 갇혔다는 박탈감이 깊은 절망과 죽음을 부를 수 있다. 역병보다 무서운 ‘고립’이다.

이전만큼 위협적이지 않지만 크고 작은 유행은 반복될 것이다. 진정한 일상회복으로 나아가려면 먼저 코로나19가 남긴 우리 주변의 상흔을 치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이웃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걸음을 늦추고 서로 돌아보고 걱정하며 우리가 잃은 것, 상생의 가치를 건져 올려야 한다.

코로나19로 숨진 3만 3000명 뒤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더 많은 간접적 죽음이 있었을 것이다. 더는 허망한 상실을 경험할 수 없다.

‘누구의 죽음이든 나를 작아지게 한다. 내가 인류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러니 사람을 보내어 저 종이 누구를 위해 울리는지 알려고 하지 말라. 그대를 위해 울리는 것이니’. 존 던의 기도문 중.

이현정 세종취재본부 차장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