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14억1200만명 < 인도인 14억1700만명…'인구 대국' 바뀌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도가 이미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다 인구 대국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인구정보분석업체인 세계인구리뷰(WPR) 통계를 인용해 2022년 말 현재 인도의 인구수가 14억1700만명으로 중국(14억1200만명)보다 500만명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인도가 조만간 중국의 인구수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은 많았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미 세계 1위 인구 대국이 됐다는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가 이미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다 인구 대국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으로 중국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인도는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어서 국제사회에 인도의 영향력이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인구정보분석업체인 세계인구리뷰(WPR) 통계를 인용해 2022년 말 현재 인도의 인구수가 14억1700만명으로 중국(14억1200만명)보다 500만명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인도가 조만간 중국의 인구수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은 많았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미 세계 1위 인구 대국이 됐다는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엔은 인도 인구가 올해 안에 14억2600만명을 넘어서 중국(14억1700만명)을 따돌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WPR 통계에 따르면 1월 18일 현재 인도의 인구는 이미 14억2300만명으로 증가했다. 또 다른 통계기관인 매크로트렌드 역시 올 1월 기준 인도의 인구수를 14억2800만명으로 추정했다.
세계 최다 인구 대국 순위가 뒤바뀐 것은 중국의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반면 인도는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인구가 85만명 감소해 61년 만에 처음 전체 인구 수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간 출생자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이른바 '데드 크로스(dead cross)'가 발생한 것이다.
중국이 예상보다 빨리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한 것은 잘못된 인구 정책 때문이다. 급격한 인구 증가를 막으려고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아제한 정책을 폈는데 2000년 이후 연간 순증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지는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됐다. 중국 당국은 결국 2016년 '한 자녀 정책'을 폐기하고, 2021년부터는 세 자녀 출산까지 허용하는 출산장려책을 내놨지만 '뒷북 대응'이라는 평가다.
결혼·출산 등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이 크게 달라진 데다 주요 대도시의 감당하기 어려운 집값과 물가, 양육·교육비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세계 인구 1위' 지위도 인도에 내주게 됐다.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의 이푸셴 연구원은 "중국의 인구는 학계 예상보다 10년 가까이 일찍 감소하기 시작했다"며 "이는 중국의 실제 인구학적 위기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반면 인도는 인구의 절반이 30세 미만 젊은층이어서 앞으로 40년간 꾸준히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역시 1970년대 산아제한 등 인구 정책을 수립했으나 종교적 이유를 들어 이에 반대하는 여론이 강했고 실제 인구 억제 효과도 크지 않았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 지위를 확보한 인도가 국제사회에서 목소리를 높일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영국 BBC는 "인도는 인구 수만 많은 것이 아니라 생산가능인구가 풍부해 '인구 배당효과'를 톡톡히 볼 것"이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 끼워달라고 요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경제 영향력 역시 커져 지난해 GDP(국내총생산)는 영국을 제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27년 인도가 일본도 제치고 세계 3위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본다.
다만 급증하는 인구에 비해 부족한 일자리는 인도의 큰 고민거리다. 새로운 일자리가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2021년 기준 인도의 생산가능인구는 9억명을 웃돌지만 노동참여율은 46%에 불과하다. 이는 중국(68%), 미국(61%) 등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아시아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대학 졸업자 월 급여가 300달러(약 37만원) 미만인 경우가 많고, 심지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짓는 청년들이 많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송지유 기자 cli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故 최진실 딸' 최준희, 루푸스 병 악화…"스테로이드 늘렸다" - 머니투데이
- 'H연구원' 이지혜 남동생 "연봉 7000만원? 훨씬 더 받아" 자랑 - 머니투데이
- '결혼 11년차' 별 "명절음식 한 적 없다…다음 생에도 ♥하하랑 결혼" - 머니투데이
- '이혼' 지연수 "피 토하고 건강이상…생활고로 암검사 못받아" - 머니투데이
- 이경규 자료화면 속 조형기…'음주 사망사고' 모자이크 굴욕 - 머니투데이
- "경차는 소형 자리에"…주차칸 넘은 수입차, 황당한 지적질 - 머니투데이
- 윤 대통령, 떠나는 바이든에 "한미동맹·한미일 협력 기여에 감사" - 머니투데이
- 4강 자력 진출 불가…한국야구, 프리미어12 슈퍼라운드 '경우의 수' - 머니투데이
- '양육권 소송' 율희, '업소 폭로' 최민환 흔적 지웠다…영상 삭제 - 머니투데이
- [TheTax]"뒤늦게 소득세 200만원 감면" 중소기업 근무자 '환호'…이유는?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