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선비의 자부심[이준식의 한시 한 수]〈196〉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3. 1. 20.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붕은 언젠가 바람과 함께 일어나, 회오리바람 타고 구만리 높이 솟구치리.

바람이 멎어 아래로 내려오면, 날갯짓으로 바닷물도 뒤집을 수 있으리.

구만리 하늘로 치솟기도 하고 날갯짓으로 바닷물도 뒤집는 위력을 가졌기에 곧잘 원대한 꿈, 무한의 자유, 활기찬 패기 등에 비견된다.

천지를 휘몰아치는 대붕의 기세처럼 자신도 세상에 크게 쓰일 수 있다는 당찬 자부심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붕은 언젠가 바람과 함께 일어나, 회오리바람 타고 구만리 높이 솟구치리.

바람이 멎어 아래로 내려오면, 날갯짓으로 바닷물도 뒤집을 수 있으리.

사람들은 유별난 내 행동을 보거나, 내가 큰소리치는 걸 듣고 냉소를 보내지만

공자도 후배를 경외할 줄 알았나니, 대장부라면 절대 젊은이를 홀대하지 말진저.

(大鵬一日同風起, 扶搖直上九萬里. 假令風歇時下來, 猶能簸卻滄溟水. 世人見我恆殊調, 聞余大言皆冷笑. 宣父猶能畏後生, 丈夫未可輕年少.)―‘이옹께 올리다(상이옹·上李邕)’ 이백(李白·701∼762)

대붕(大鵬)은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전설 속의 새. 구만리 하늘로 치솟기도 하고 날갯짓으로 바닷물도 뒤집는 위력을 가졌기에 곧잘 원대한 꿈, 무한의 자유, 활기찬 패기 등에 비견된다. 이백이 이 새를 끌어들인 것도 자신의 무한한 잠재력을 과시하려는 의도이겠다. 천지를 휘몰아치는 대붕의 기세처럼 자신도 세상에 크게 쓰일 수 있다는 당찬 자부심이다.

시는 아직 관직에 입문조차 않은 청년 이백이 유주자사(渝州刺史) 이옹(李邕)을 만난 직후 올린 글. 세간에서는 내 행동이 괴팍스럽다거나 내 말이 흰소리에 불과하다고 냉소한다. 물정 모르는 필부필부(匹夫匹婦)들이야 그렇다 치고 대장부인 귀하마저 나를 홀대할 수 있단 말인가. ‘공자도 후배를 경외할 줄 알았다’는 말은 거의 무례에 가까운 충고다. 풋내기 선비인 시인이 왜 이리도 불손하게 지방 장관을 몰아쳤는지 그 연유는 알 수 없다. 황제의 총애도 나 몰라라 평생 천하를 주유하며 음주와 신선술에 심취했던 이백. 그의 자유분방한 기질은 어쩌면 젊은 시절의 이런 자부심에서 비롯했는지도 모른다. 나이 서른이 넘도록 재상들을 향해 ‘내 키가 비록 일곱 자도 못 되지만 마음만은 만인을 능가할 만큼 웅대하다’고 유세하고 다닌 것도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