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밖이 무서워요”···은둔하는 청년들 '서울만 13만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립·은둔 상태인 청년이 서울시에 최대 12만90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서울시가 공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만 19∼39세 청년 중 4.5%가 고립·은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종합 지원정책을 올 3월 발표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종합청년지원정책 3월 발표 예정
고립·은둔 상태인 청년이 서울시에 최대 12만90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서울시가 공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만 19∼39세 청년 중 4.5%가 고립·은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청년 5513명과 청년이 거주하는 5221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및 심층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고립·은둔 청년 실태를 조사한 건 서울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생활고 등 위기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거나 가족 친척 외에는 대면 교류를 하지 않는 상황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고립’으로 규정했다.
외출을 거의 안 하고 집에서 생활하는 상태가 6개월 이상 유지되고, 최근 한 달간 구직 활동이 없는 경우는 ‘은둔’으로 규정하고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고립·은둔 중으로 파악된 청년 486명 중 45.5%는 ‘구직에 어려움을 겪거나 실직했다’고 답했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외부와의 관계를 단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심리적 또는 정신적 어려움’(40.9%), ‘인간관계 형성의 어려움’(40.3%), ‘집 밖에 나가는 게 귀찮음’(39.9%)’ 등이 고립·은둔 생활의 이유로 꼽혔다.
고립·은둔 생활을 지속한 기간은 ‘1년 이상∼3년 미만’(28.1%)이 가장 많았는데, 10명 중 1명(11.5%)은 비외출 기간이 ‘10년 이상’이라고 답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돌봐주는 가족이 있을수록 외출을 안 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고립·은둔 청년 중 18.5%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복용 중이었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종합 지원정책을 올 3월 발표할 예정이다. 먼저 대학병원 및 뇌과학 진단 프로그램 등을 통한 상담을 확대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마음건강 비전센터’(가칭)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설립될 경우 센터에선 고립·은둔 초기 진단부터 상담,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지원을 맡게 된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고립·은둔 청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당사자 중심의 정책설계가 필요해졌다”며 “이들이 사회로 나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exculpate2@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끼리끼리 결혼' 유달리 적은 韓…고소득 남편·저소득 아내 많다
- '文반환 풍산개' 관리에 1억5000만원?…예산안 논란
- '남성 2명 잔혹 살해' 日 여성 사형수, 밥 먹다가 질식사
- “타워크레인 조종사에 4년간 38억원 상납해야 했다”…기업 290곳이 고백한 ‘피눈물’
- 5명 중 1명 '코로나 재감염'…더 무서운 이유 있었다
- '어깨 피멍, 귀 실핏줄'…어린이집 CCTV 요구하자 '수리 맡겨'
- 6700만원 BMW, 편의점서 팔렸다…누가 샀나보니
- '전기 끊기면 탈출 못해…테슬라 목숨 걸고 타는꼴'
- '거제 추락' SUV 사망자들 미스터리…'2명은 실종상태였다'
- '한국 신라면서 농약 성분 나왔다'…1000상자 폐기·반송한 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