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발하고 760억원 상속권 포기… 8살 인도 소녀에게 무슨 일이
인도에서 자이나교 승려가 되기 위해 막대한 재산 상속권을 포기한 8살 소녀의 사연이 화제다. 소녀가 물려받기로 예정돼 있던 가업 순자산 규모는 무려 50억 루피(약 758억5000만원)에 달한다.
18일(현지시각) AFP 통신 등 여러 외신에 따르면 인도 서부 도시 수랏에 사는 8살 소녀 데반시 상비는 최근 나흘간의 ‘딕샤’(diksha)를 모두 치렀다. 딕샤란 출가의 전통이 있는 자이나교에서 개인의 모든 소유물을 버리고 사찰로 향하는 일종의 세상포기 의식을 뜻한다. 소녀는 머리카락을 모두 자르고 화려한 옷을 버렸으며 코끼리가 끄는 마차를 타는 등의 의례를 행했다.
종교인으로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지만, 이 소녀의 딕샤가 눈길을 끈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바로 상비가 불과 며칠 전까지 세계 보석 무역을 주름잡는 보석 회사 ‘상비 앤 선즈’(Sangvi & Sons) 상속녀였기 때문이다. 인도 신용평가사 자료를 보면, 1981년 설립된 이 회사의 현재 순자산은 50억 루피로 추산되고 있다.
상비가 수백억대 상속녀 신분을 포기하고 승려가 된 배경에는 두터운 신앙심이 있었다. 마을에서 열린 축하연을 지켜보던 지인들은 “상비가 수랏의 신도들 사이에서 굳은 신심으로 이미 유명했다”며 “사원 의식에 단골로 참석했고 텔레비전을 보거나 쇼핑몰에 간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사찰로 향한 상비는 딕샤를 거친 승려 중 가장 어린 인물로 기록됐다. 상비의 부모도 언론을 통해 “상비가 평소 승려가 되기를 열망했다”며 딸의 출가를 응원했다. 그들 역시 자이나교도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 약 400만명의 신자를 보유 중인 자이나교는 불교와 마찬가지로 기원전 6세기 무렵 브라만교에서 파생한 현지 전통 종교다. 고행·금욕·무소유·무살생·비폭력·평화주의를 지향한다. 다만 일부 교도들이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어린 자녀에게 승려가 되기를 강요하는 사례도 많다.
또 출가한 아이들이 죽음에 이를 정도로 극단적인 고행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제로 2016년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13살 소녀가 물 두 잔으로 하루를 버티며 두 달간 단식하다 혼수상태에 빠져 사망한 일이 있었다. 당시 딸의 단식을 강제한 부모는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됐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비드상은 음란물”…일부 학부모 항의에 美학교 교장 결국 사임
- 젤렌스키에 ‘주걱’ 선물한 기시다…“부끄럽다” 日 네티즌들도 비판
- 3년 만에 中 찾은 이재용, 핵심거점 톈진시 서기 만나 논의
- 놓아주려 생명유지장치 껐는데…뉴질랜드 남성 혼수상태 깨어나 미소
- ‘가족이 마약 신고’ 남경필 아들 구속영장 기각, 왜?
- 피겨 차준환 세계선수권 은메달… 한국 남자 최초
- ‘자녀 셋’ 정유라에 “X새끼 그만 낳아라”…충격 악플 행태
- 폭발로 잔해가 비처럼 떨어져…美초콜릿공장 사고에 2명 사망·9명 실종
- 이재명 “이원욱 악마화, 즉시 중단해 달라”… 개딸 과격 행동 저지
- 이근, 본인이 법원서 폭행한 유튜버와 공개결투 ‘조건부 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