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 다음에 할까?"…몸사리는 삼성전자 인재들

오문영 기자 2023. 1. 19. 1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 승격 지원 요건을 충족하셨으나, 승격 지원을 완료하지 않으신 임직원 대상 리마인드(다시 한번 알려주다) 드립니다."

삼성전자 직원 D씨는 "평가에 대한 부서장 권한은 여전히 높고, 팀 안에서 승진 규모에 제한이 없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몰아주기식 평가가 여전히 존재하는 분위기"라며 "승격 점수 외에도 지원 사유와 업무 성과, 본인 강점 등을 상세히 서술해야 하는 것도 의도를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김창현 기자 chmt@

"2023년 승격 지원 요건을 충족하셨으나, 승격 지원을 완료하지 않으신 임직원 대상 리마인드(다시 한번 알려주다) 드립니다."

#삼성전자 16년 차 직원 A씨는 최근 피플팀(인사팀)으로부터 이메일을 받고 고민이 생겼다. 그는 올해 진급할 조건을 갖춘 상태다. 과거 통념으로 치면 3년 조기 진급이다. 빠르게 승진하면 좋을 것이란 생각도 들지만, 늘어날 업무와 책임이 부담스럽다. 이번에 진급하면 관리자급인 CL4(옛 부장)로 올라가게 돼 업무 변동도 꽤 클 것만 같다. 직급이 높아지면 연봉상승률이 낮아질 것이란 얘기도 주변에서 심심찮게 들린다.

19일 승진인사 시즌을 맞은 삼성전자 내부가 어느 때보다 혼란스러운 분위기다. 올해 새로 시행되는 승격제도 영향이 크다. 기존에 승진 여부를 단순히 통보받는 식이었다면, 승진 요건을 갖춘 대상자들이 직접 지원해야 하는 체계로 변했다. 연차에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승격 기회를 주기 위해 도입됐다. DS(디바이스솔루션·반도체) 부문 기준으로 업무성과(업적평가 50점)와 직무전문성(공통역량+특화역량 50점), 가감항목(12점)을 합산해 승격 점수를 산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연차와 입사 조건 등에 따라 CL1(고졸·전문대졸), CL2(사원·대리), CL3(과장·차장), CL4(부장) 등의 직급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통상 단계별로 승격하기 위해서는 10년 가까운 기간이 필요했다. 대졸 입사(CL2)를 예시로 들면, 9년 차에 CL3에 오르고 19년 차에 CL4로 승진하는 것이 정규 승격으로 인식돼 왔다.

A씨는 "이전에는 조기 진급이라 하면 2년이 최대로 받아들여졌다"면서 "1년 조기 진급을 발탁승진, 2년 조기 진급을 발발탁 승진으로 불렀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승격제도를 도입하면서) 2년이라는 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연차 상관없이 점수에 따라 승격 지원 메일을 돌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삼성 내부에서는 조기 진급 대상자를 중심으로 승격 지원을 하는 것이 좋은가란 의문이 제기된다. 이른 시기에 권한과 책임이 느는 것에 대한 부정적 목소리다. DS부문 직원 B씨는 "CL4 진급 대상자인 경우에 특히 그런 고민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면서 "임원이 되지 못하면 희망퇴직 우선 대상자에 선정될 수 있다는 걱정도 있다"라고 전했다. 이 직원은 "내년에도 좋은 고과를 받을 보장이 없기 때문에 기회가 있을 때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의견 역시 있다"라고 덧붙였다.

연봉 역시 고민을 깊게 만드는 요소다. 직급이 오르면 연봉상승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추측 섞인 우려다. 샐러리캡(직급별 연봉 상한)을 찍은 뒤 천천히 진급하는 것이 낫다는 말들이 나온다. 삼성전자 직원 C씨는 "지인이 CL3 8년 차인 상황에서 승격 조건을 만족했지만, 연봉 관리가 부족했다고 생각해 승격 지원을 내년으로 미룰지 고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직원은 "본래 업무성과와 직무전문성을 합산해 연봉등급을 결정했으나, 올해부터 업적평가만으로 연봉등급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여기에 본인이 직접 승격 지원까지 하게 되면서 연봉을 챙기면 자연스레 진급까지 하는 구조에서 벗어난 것"이라 전했다. 그러면서 "진급보다 연봉을 먼저 챙기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며 "회사에서 샐러리캡이나 직급별 연봉상승률 변화 여부 등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추측만 무성한 상황"이라 설명했다.

승격제도가 본래 도입 취지와 다르게 되려 혼란과 부작용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도 내부에서 나온다. 승격제도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10월 능력 있는 인물을 우대하겠다며 내놓은 인사제도 혁신안의 일부다. 제도 도입 첫해인 만큼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도 감지된다. 삼성전자 직원 D씨는 "평가에 대한 부서장 권한은 여전히 높고, 팀 안에서 승진 규모에 제한이 없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몰아주기식 평가가 여전히 존재하는 분위기"라며 "승격 점수 외에도 지원 사유와 업무 성과, 본인 강점 등을 상세히 서술해야 하는 것도 의도를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