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60대 이상 코로나 사망률, 일상회복 뒤 되레 늘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나온 이후 3년간 사망자 통계를 전수 분석한 결과, 일상 회복이 시작된 지난해 만 60살 이상 고령층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앞선 2년보다 도리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통계청의 코로나19 사망자 통계를 보면, 코로나19는 새 변이가 유입되거나 대유행이 일어날 때마다 만 60살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피해를 키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10만명당 58명
전년 같은기간 29명보다 2배
“정부, 고령층 치료조처 부족”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나온 이후 3년간 사망자 통계를 전수 분석한 결과, 일상 회복이 시작된 지난해 만 60살 이상 고령층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앞선 2년보다 도리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층이 주로 입원한 요양병원에서의 코로나19 사망자 역시 1년 새 17배 넘게 증가해, 고령층이 방역정책의 사각지대 속에서 감염병 유행 초기보다도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었다. 이는 <한겨레>가 통계청의 2020·2021년 코로나19 사망자 전수 통계와 질병관리청의 2022년 코로나19 사망자 현황을 단독 입수해 희생자들의 연령, 사망 장소, 지역 등을 분석한 결과다.
18일 통계청의 코로나19 사망자 통계를 보면, 코로나19는 새 변이가 유입되거나 대유행이 일어날 때마다 만 60살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피해를 키웠다. 인구 10만명당 60살 이상 사망률은 코로나19 초기 우한주가 유행하던 제1차 유행(2020년 1∼4월) 동안 2.0명이었다. 이 숫자는 하루 확진자가 1천명대에 들어선 제3차 유행(2020년 10월∼2021년 1월) 때 7.9명으로 불어난 뒤, 델타 변이 유행기(2021년 11∼12월)에는 22.8명으로 2년 동안 11.4배가 됐다. 같은 기간 20∼50대의 사망률은 5배(0.1명→0.5명) 늘어, 고령층에 비해 증가폭이 낮았다.
연령대별 사망률 격차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된 지난해 들어 더욱 커졌다.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0.16%로 델타 0.8%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낮은 편인데도, 전염 속도가 빨라 하루 최대 40만여명이 확진되자 노약자 위주로 사망자가 늘어난 것이다.
질병청 통계를 보면 오미크론 BA.1·2 변이가 퍼진 제5차 유행기(지난해 1∼6월) 60대 이상의 10만명당 사망률은 137.4명으로, 초기 우한주, 델타 변이가 유행하던 2020∼2021년 2년치 사망률(44.6명)에 견줘 3.1배로 늘었다. 그중 80대 이상은 증가폭이 151.1명에서 552.0명으로 3.7배에 달하는 등 연령이 높아질수록 바이러스의 치명률과 상관없이 확진자 증가에 따라 사망률도 높아졌다. 20∼50대 사망률은 1.4명에서 3.7명으로 2.6배 늘었다.
고령층 사망률은 지난해 하반기에야 58.2명으로 꺾였지만, 델타 변이 유행기인 전년 같은 기간(28.5명)에 견줘도 여전히 2배 이상 높은 수준이었다. 20∼50대가 코로나19에 확진됐을 때 사망하는 비율(치명률)이 ‘0’에 가깝게 줄어든 것과 달리, 고령층의 치명률은 젊은층만큼 떨어지지 않은 결과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7∼11월 20·30대 코로나19 확진자의 치명률은 0%였고, 40·50대에서도 0.10%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만 60살 이상의 치명률은 7월 0.21%에서 11월 0.32%로 오히려 늘었다.
더욱이 연로한 환자가 대다수인 요양병원 등에는 지난 연말까지 특히 많은 사망자가 몰렸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실에 제출한 사망 장소별 코로나19 사망자 현황을 보면, 지난해 요양병원에서 사망한 코로나19 환자는 7613명으로 전년(444명)의 17배로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3년간 정부가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방안 외에 감염취약군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의료관리학)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대다수 방역 조처는 코로나19에 걸려도 비교적 피해가 덜한 장년층 이하의 일상을 제약하는 쪽으로 설계됐다”며 “정작 사망자가 집중되는 고령층을 보호하고 감염 시 치료하기 위한 조처는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경찰, 민주노총·한국노총 압수수색…‘채용 강요·갈취’ 혐의
- [단독] 오세훈, 작은도서관 예산 없앴다…예고 없이 “지원 끝”
- 홍준표, 나경원 겨냥 “출세욕 부창부수”…나 “책임져야 할 것”
- 5만년 만에 돌아온 ‘녹색 혜성’…설 연휴 북극성 주변을 보세요
- 이란 외교부, 한국대사 소환…“윤 대통령 발언 중동 평화 해쳐”
- ‘손맛’ 죽이죠? 나는 ‘죽을 맛’이에요…산천어축제 르포 [영상]
- 오늘 저녁 중부지방 비나 눈…21일 아침 영하 15도 한파
- [단독] 60대 이상 코로나 사망률, 일상회복 뒤 되레 늘었다
- 작년 사망 29% 요양병원…땜질식 대책에 스러진 ‘고위험군’
- 윤 대통령 “저는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내 사무실 찾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