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망률 높았던 경북·전남…초고령·의료취약 이중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경기였지만, 확진자 1천명당 사망자 수가 많았던 지역은 경북·전남·전북·부산 등이었다.
사망 위험이 큰 지역은 만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 지역'이었지만, 중증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등이 부족한 '의료취약 지역'이기도 했다.
하지만 확진자 1000명당 사망자 수는 경북이 20.06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19.24명), 전북(18.32명), 부산(17.72명), 대구(17.41명)가 뒤를 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명률 상위 4곳 모두 ‘초고령지역’
3곳은 공공병원 설치율 평균이하
정점 지나자 공공의료 논의 뒷걸음
전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울·경기였지만, 확진자 1천명당 사망자 수가 많았던 지역은 경북·전남·전북·부산 등이었다. 사망 위험이 큰 지역은 만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 지역’이었지만, 중증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등이 부족한 ‘의료취약 지역’이기도 했다.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감염 예방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함에도 의료혜택을 받기 어려웠다는 뜻이다. 공공의료 기반을 확보하지 않으면 새로운 감염병 출현 때마다 환자들이 다른 지역을 떠도는 일이 반복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치명률 높은 5곳 중 4곳은 ‘초고령사회’
18일 <한겨레>가 김윤 서울대 교수(의료관리학) 연구진에 의뢰해 ‘통계청 2020년 1월~2021년 12월 코로나19 사망자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이 기간 사망자 5940명 가운데 63.6%가 서울(2004명)과 경기(1773명)에서 발생했다. 하지만 확진자 1000명당 사망자 수는 경북이 20.06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19.24명), 전북(18.32명), 부산(17.72명), 대구(17.41명)가 뒤를 이었다.
방역당국과 의료계는 높은 고령 인구 비율이 사망자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실제 확진자 대비 치명률이 높은 5개 지역 가운데 대구를 제외한 4곳은 만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 지역이었다. 2021년 12월 기준 이들 지역의 만 65살 이상 인구 비중은 전남 24.29%, 경북 22.70%, 전북 22.25%, 부산 20.35%였다.
경북도 관계자는 “전국의 60대 이상 확진자 비율은 19% 정도이지만, 경북은 그 비율이 26% 정도”라며 “고령층이 많은 지역 특성상 높은 치명률로 이어졌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실제 경북도가 지난달 23일 연령별 인구 비율을 전국 표준으로 낮춰 사망자를 추산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사망자는 기존 73.8명에서 52.5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는 전국 사망률(61.3명)보다 8.8명 적은 수치다.
병원·의사 부족한데…공공의료 ‘제자리걸음’
초고령사회 지역은 의료 자원 취약지로도 분류된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지난해 3월 기준 시·도별 중진료권의 책임 공공병원 설치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경북·전남·부산은 책임 공공병원 설치율이 33%로 전국 평균 34%를 밑돌았다.
민간으로 범위를 넓혀도 의료 자원은 부족했다. 2020년 기준 공공·민간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남 0.47명, 경북 0.55명, 전북 0.71명 등으로 전국 평균(0.79명)보다 적었다.
2020년 전체 병상의 10%도 되지 않은 공공병원이 코로나19 환자 72.3%를 치료(건강보험 적용 입원 환자 기준)하는 등 감염병 발생 초기엔 공공의료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데도 유행이 안정되자 공공의료 확충 목소리는 힘을 잃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는 1958년 지어진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규모를 대폭 축소했다. 의료원은 중앙감염병전문병원 150병상과 이를 뒷받침할 본원 800병상 등 1050병상이 필요하다고 요청했지만, 기재부는 290병상 적은 760병상으로 총사업비를 확정했다. 대구시 역시 400~500병상 규모 제2의료원 건립을 추진했지만, 홍준표 대구시장은 취임 직후 기존 대구의료원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인 조승연 인천시의료원장은 “공공의료 강화는 감염병을 위한 투자”라며 “(민간병원에 투입된) 손실보상 예산을 지방의료 강화에 썼다면 또 다른 감염병이 왔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텐데, 공공의료 의료진은 소진됐고 병원은 경영 위기에 빠졌다”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60대 이상 코로나 사망률, 일상회복 뒤 되레 늘었다
- 윤 대통령에 내쳐진 나경원, 지지율도 ‘뚝’…출마 뜻 꺾이나
- 쌍방울 김성태 횡령 등 영장 청구…‘이재명 변호사비 대납’ 혐의 빠져
- 대만, 신라면 1100㎏ 폐기…“농약성분 검출” 주장, 국내용은?
- 윤 대통령 “글로벌 스탠다드 안 맞으면 언제든…” 친기업 행보
- 이재명 “28일 검찰 출석하겠다”…‘대장동 특혜’ 의혹 조사
- 서울교통공사 역장 출신, 자회사에서 청소노동자 성추행
- 민주노총 ‘공안 정국’…국정원 존재감 과시, 검찰 공안통도 가세
- 이태원 유족에 ‘막말’ 김미나 창원시의원직 유지…제명안 부결
- ‘어른’ 김혜자…눈이 부시게 나이 들고 싶어서, 당신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