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휘의 시네필] '유랑의 달'…일본사회 ‘질서의식’ 바라보는 재일동포 감독의 시선

조재휘 영화평론가 2023. 1. 19.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상일 감독의 '유랑의 달'(2022)은 일본 사회라는 조용한 강의 바닥에 흐르는 집단주의에 관한 반발과 비판 메시지를 숨긴 영화다.

집 밖에서 비를 맞고 있던 소녀에게 청년이 우산을 씌워주는 장면으로 포문을 연다.

결핍과 상처가 있는 두 사람은 서로 어울려 생활하는 그들만의 밀실에서 자유와 행복을 만끽하지만, 사회의 도덕적 통념에 포섭되지 않은 회색지대의 바깥으로 나오는 순간 비정상으로 낙인찍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상일 감독의 ‘유랑의 달’(2022)은 일본 사회라는 조용한 강의 바닥에 흐르는 집단주의에 관한 반발과 비판 메시지를 숨긴 영화다. 집 밖에서 비를 맞고 있던 소녀에게 청년이 우산을 씌워주는 장면으로 포문을 연다. 흐린 날씨의 칙칙한 화면, 다리 아래 흐르는 흙탕물 격류를 포착하는 부감은 두 사람이 겪게 될 일이 녹록지 않으리라는 불길한 암시를 남긴다. 15년이 지나, 소아성애 범죄의 가여운 피해자와 흉악한 가해자라는 낙인과 누명을 각각 뒤집어 쓴 사라사(히로세 스즈)와 후미(마츠자카 토리)는 우연한 계기로 재회하면서 또 다른 파국에 휩쓸린다.

감독의 의도에 철저히 헌신하는 홍경표 촬영감독의 카메라는 영화의 성격과 주제를 말없이 표현한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라사의 주변에서 유괴사건을 언급하는 이들의 말이 들려올 때, 비스듬히 내려다보는 완만한 부감의 와이드 숏은 주변 시선에 포위되고 짓눌린 개인의 왜소함을 강조한다. 숨 막히고 답답함을 유발하는 프레이밍은 야외 장면에서도 약혼자 료의 아파트로 돌아올 때처럼 스카이라인을 낮게 잡고 다른 건물에 둘러싸여있음을 부각하는 구도나 배경에 깔리는 어둠을 통해 중첩되고 강화된다.

사라사와 후미는 각자 결혼을 희망하는 연인을 갖고 정상적인 커플 관계를 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모나지 않은 정상적인 보통 사람이 되기를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억눌린 개인의 정체성은 균열을 일으키며 이중으로 분열한다. 의무감에 짓눌린 개인의 비극은 주변 인물도 예외는 아니다. 약혼자 료는 결혼과 가업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관습의 무게를 버거워하고, 사라사의 직장동료 안자이는 싱글맘으로서 살면서 받는 차별과 힘겨움을 토로하지만, 정작 의지할 애인이 생기자 어머니 역할을 내던지고 떠난다.

다시 후미를 만나는 걸 알게 된 료는 사라사에게 폭행을 저지르고는, 뒤에 돌아온 그녀에게 “용서해줄게”라 말한다. 왜곡된 후미의 과거사를 알게 된 동거인 아유미는 오열한 뒤 떠난다. 죄가 없음에도, 정상성의 규범을 벗어난 존재에게 가해지는 폭력과 차별적 시선의 실체가 이 대목에서 소름끼치게 드러나고 만다.

사라사에겐 어린 시절 아동 학대를 받았다는 불길한 암시가 있고, 후미 또한 타고난 장애로 부모에게 경원시됐음이 뿌리 뽑힌 물푸레나무 일화로 제시된다. 결핍과 상처가 있는 두 사람은 서로 어울려 생활하는 그들만의 밀실에서 자유와 행복을 만끽하지만, 사회의 도덕적 통념에 포섭되지 않은 회색지대의 바깥으로 나오는 순간 비정상으로 낙인찍힌다. 감독은 묻는다. 구성원의 사랑과 행복이라는 실질은 없이 틀과 형식만 지켜지면 된다는, 개인 감정과 사정 따위는 희생돼도 상관없다는 일본식 질서, ‘와(和)’의 의식은 환상이자 기만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이 묵직한 회의를 재일한국인이라는 외부자의 시선을 통해 던진다.

맑은 하늘과 평온히 흐르는 시냇물 이미지로 도입부와 수미상관을 이루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곤욕을 치렀지만 다시 합쳐진 두 사람은 예전처럼 둘만의 소박한 행복을 찾을 것이다. 비록 앞으로 펼쳐질 삶이 사회로부터 버림받고, 무수한 억압과 차별을 감당해야 하는 투쟁의 연속일지라도.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