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 진다고 나무가 죽지 않듯, 치매 걸렸다고 인생 끝나지 않아
작품은 뇌 노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창때는 녹색의 잎사귀가 나무에 무성하다. 그러다 색이 노랗게 바래면서 잎사귀가 드문드문 빈 곳이 생긴다. 나중에는 잎사귀가 낙엽처럼 붉게 물들면서 텅~하니 비어가고, 바닥에는 낙엽이 수북이 쌓여간다. 이는 마치 우리의 인지기능 행로 같다. 젊을 때는 빠릿빠릿하게 돌아가던 머리가 나이 들어 지력을 점차 잃어간다. 그 극단이 치매다.
나무에 낙엽 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인간 뇌 기능은 노력으로 그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뇌도 근육과 같아서 단련할수록 머리를 쓸수록 가동되는 뇌 신경회로 용량을 키울 수 있다. 신경회로가 많으면, 치매 현상으로 상당수 신경회로가 망가지더라도 남아서 가동되는 것들이 일정 수 이상 있기에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저수지에 물이 많으면, 가뭄이 와도 바닥이 드러나지 않는 것과 같다.
뇌 신경세포와 회로를 늘리려면 평소 하지 않던 새로운 활동이나 학습을 많이 해야 한다. 안 쓰던 손을 쓰는 것은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오른손잡이라면 밥 먹을 때나 도구를 사용할 때, 양치질할 때 왼손을 써볼 수 있다. 한 번도 안 가본 동네를 걸으면서 이 가게, 저 가게를 살펴보는 것도 좋다. 새로운 외국어를 공부하면 다양한 뇌 신경회로를 동원하게 된다. 한 번도 배우지 않았던 악기나 춤에 도전하는 것도 권장된다. 매일 사람들과 어울려 대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기 쓰기는 단기 기억력을 자극한다.
낙엽이 진다고 나무가 죽는 게 아니다. 치매로 기억을 잃는 것이지, 인생이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삶과 경험을 뇌에 새겨놓으시라.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논설실의 뉴스 읽기] 기업 규제법안 쏟아내고 갑질하더니… 국회, 기업에 신형 낙하산 인사
- [에스프레소] K뽕에 다시 취하고 싶다
- 어릴 때 우리 집 메뉴는 단 두 가지, 뭐였게?
- [기자의 시각] 축구 감독이 코치도 직접 못 뽑나
- [카페 2030] 서울에 바다가 있었다면
- [유석재의 돌발史전] 창덕궁 우물 속에서 발굴됐던 ‘화란 나르당의 천연향’
- [박성민의 정치 포커스] 오만, 오기, 오판… 남은 절반은?
-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320] 분홍 빛깔 홍위병
- [양해원의 말글 탐험] [234] 나는, 날으는, 나르는
- [황유원의 어쩌다 마주친 문장] [4] 타인의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