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새해 계획은? 배우는 자세와 일상속 경외감![광화문에서/신수정]
신수정 DBR 교육컨벤션팀장 2023. 1. 19.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가 밝았구나. 군자는 새해에 그 마음가짐과 행동을 새롭게 해야 한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새해를 맞을 때마다 일 년 동안 무슨 공부를 할 것인가를 미리 계획했다." 이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다.
매일 반복되는, 약간은 지루하게 느껴지는 일상이 불만족스럽다면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느끼는 순간을 자주 만들어 보는 것을 새해 계획으로 세워도 좋을 것 같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해가 밝았구나. 군자는 새해에 그 마음가짐과 행동을 새롭게 해야 한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새해를 맞을 때마다 일 년 동안 무슨 공부를 할 것인가를 미리 계획했다.” 이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내용이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다산처럼 공부를 목표로 세운 이들이 많을 것 같다. 특히 조직을 이끌고 있는 리더라면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낯선 문제를 해결하려면 잘 알고 있는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공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총장을 지내고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이사회 의장으로 있는 존 헤네시는 ‘어른은 어떻게 성장하는가(Lessons from My Journey)’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은 주요 투자를 둘러싼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서 반드시 필요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라며 “나는 지금까지도 책에 욕심이 많은데 배움은 삶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자세는 젊음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1920년생으로 올해 103세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정신적으로 늙지 않는 비결을 묻는 질문에 공부를 제일 첫 번째로 꼽았다. 그는 “신체가 늙는 건 어떻게 할 수 없지만 정신적으로 늙는 건 자기 책임인 것 같아요. 뭐든지 배워야 해요. 공부가 따로 있나요? 독서하는 거고 취미 활동 하는 거죠”라고 했다.
매일 반복되는, 약간은 지루하게 느껴지는 일상이 불만족스럽다면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느끼는 순간을 자주 만들어 보는 것을 새해 계획으로 세워도 좋을 것 같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대커 켈트너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Awe(경외감)’에서 ‘내가 세계에 대해 현재 이해하는 바를 초월하는 거대한 무언가의 존재 속에 있는 느낌’이라고 정의했다.
그간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그랜드캐니언, 오로라 등의 장엄한 자연 앞에서 경외감을 느끼지만 지극히 일상적인 순간에서도 특별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경외감을 느끼면 더 차분하고 친절해지고, 창의성이 높아지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에번 해럴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시니어 에디터는 HBR 신년호에 게재한 칼럼에서 이를 일상 속 경외감의 힘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발견하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면 일상의 따분함을 피할 수 있다”며 “이는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가 묘사한 ‘작은 방의 무한한 풍요로움’을 누리는 것”이라고 했다.
박완서 작가(1931∼2011)는 설악산에서 마주친 단풍과 석양을 보면서 느낀 순간의 감동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남겼다. “예사로운 아름다움도 살날보다 산 날이 많은 어느 시기와 만나면 깜짝 놀랄 빼어남으로 빛날 수 있다는 신기한 발견을 올해의 행운으로 꼽으며 1982년이여 안녕.”
배움의 즐거움과 일상 속 경외감을 통해 지적으로, 정서적으로 보다 풍요로워질 2023년 계묘년을 기대한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다산처럼 공부를 목표로 세운 이들이 많을 것 같다. 특히 조직을 이끌고 있는 리더라면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낯선 문제를 해결하려면 잘 알고 있는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공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총장을 지내고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이사회 의장으로 있는 존 헤네시는 ‘어른은 어떻게 성장하는가(Lessons from My Journey)’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은 주요 투자를 둘러싼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서 반드시 필요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라며 “나는 지금까지도 책에 욕심이 많은데 배움은 삶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자세는 젊음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1920년생으로 올해 103세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정신적으로 늙지 않는 비결을 묻는 질문에 공부를 제일 첫 번째로 꼽았다. 그는 “신체가 늙는 건 어떻게 할 수 없지만 정신적으로 늙는 건 자기 책임인 것 같아요. 뭐든지 배워야 해요. 공부가 따로 있나요? 독서하는 거고 취미 활동 하는 거죠”라고 했다.
매일 반복되는, 약간은 지루하게 느껴지는 일상이 불만족스럽다면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느끼는 순간을 자주 만들어 보는 것을 새해 계획으로 세워도 좋을 것 같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대커 켈트너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Awe(경외감)’에서 ‘내가 세계에 대해 현재 이해하는 바를 초월하는 거대한 무언가의 존재 속에 있는 느낌’이라고 정의했다.
그간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그랜드캐니언, 오로라 등의 장엄한 자연 앞에서 경외감을 느끼지만 지극히 일상적인 순간에서도 특별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경외감을 느끼면 더 차분하고 친절해지고, 창의성이 높아지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에번 해럴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시니어 에디터는 HBR 신년호에 게재한 칼럼에서 이를 일상 속 경외감의 힘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발견하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면 일상의 따분함을 피할 수 있다”며 “이는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가 묘사한 ‘작은 방의 무한한 풍요로움’을 누리는 것”이라고 했다.
박완서 작가(1931∼2011)는 설악산에서 마주친 단풍과 석양을 보면서 느낀 순간의 감동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남겼다. “예사로운 아름다움도 살날보다 산 날이 많은 어느 시기와 만나면 깜짝 놀랄 빼어남으로 빛날 수 있다는 신기한 발견을 올해의 행운으로 꼽으며 1982년이여 안녕.”
배움의 즐거움과 일상 속 경외감을 통해 지적으로, 정서적으로 보다 풍요로워질 2023년 계묘년을 기대한다.
신수정 DBR 교육컨벤션팀장 crystal@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민노총 간부 등 4명, 2명씩 짝지어 동남아서 北공작원 접촉”
- [김순덕 칼럼]이재명은 그들의 도구인가, 아니면 ‘도끼’인가
- [단독]국정원, 방첩조직 신설… 시민단체-정계 이어 노동계로 수사 확대
- 이재명 “술먹다 김성태 전화 받았다는데 기억 안나”
- “내 차를 광고판으로 활용해 보세요” …올해 첫 국내 스타트업 데모데이 현장[스테파니]
- [속보]檢, 한국타이어 조현범 회장 자택 등 압수수색
- 예약택시 가로챈 취객, 들키자 폭행…기사는 닷새간 혼수상태
- 경찰, 민노총·한노총 건설노조 8곳 압수수색…“불법행위 수사”
- 尹, 인텔CEO 등과 다보스 회동 “한국에 투자를”
- 검찰, 김성태 구속영장 청구…횡령·배임 등 6개 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