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위’ 교체 임박…‘세계의 공장’ 바뀌나

이종섭·김서영 기자 2023. 1. 18. 22: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4억명 이상 거느린 ‘인구 대국’ 중국·인도의 앞날은
중국, 인구 감소에 성장 둔화…경제 정점 지나 ‘하강’ 우려
인도, 향후 40년 증가세 예상…국력 상승 속 일자리 불안

현재 각각 14억명 이상의 인구를 거느린 중국과 인도는 지난 70여년 동안 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해왔다. 하지만 2022년을 기점으로 두 ‘인구 대국’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달려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거대한 인구를 성장동력 삼아 ‘세계 최대 공장’ 역할을 담당해왔던 중국은 출생률이 계속 하락하면서 61년 만에 처음 인구가 감소했다. 반면 오는 4월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올라설 것이 확실시되는 인도는 앞으로 40년 동안 꾸준히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과 인도의 인구는 단순한 숫자를 의미하지 않는다. 중국의 인구 감소 추세는 중국 경제가 정점을 지나 하강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는 ‘피크 차이나(Peak China)’ 주장에 힘을 실어주지만 ‘세계 최대 공장’ 지위를 넘겨받게 될 인도는 인구 파워에 힘입어 국제무대에서 목소리를 더욱 키워나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8일(현지시간) AP통신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인구학자인 이푸셴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대 연구원은 “중국의 인구는 예상보다 9~10년 일찍 감소하기 시작했다”며 “이는 중국의 실제 인구학적 위기가 상상을 초월하며, 과거 경제·사회·국방·외교 정책이 잘못된 인구 통계 자료에 기초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예상보다 빨리 인구 감소 위기에 직면한 이유의 하나는 인구 정책의 실패를 꼽을 수 있다.

중국은 급격한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하제한 정책을 실시했다.

인구 감소 위기가 감지된 것은 2000년 이후 연간 순증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지면서부터다. 결국 2016년에 ‘한 자녀 정책’을 폐기했고, 2021년에는 세 자녀 출산을 허용했지만 뒤늦은 대응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춘제 연휴 앞둔 중국, 기차역엔 귀향객들 ‘인산인해’ 중국 상하이 훙차오 기차역 구내가 18일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음력설) 연휴를 앞두고 귀향하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중국이 엄격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철회한 이후 처음 맞는 춘제 연휴는 이달 21일부터 27일까지로, 중국 당국은 지난 7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를 춘제 특별수송기간으로 정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출산장려책도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변화와 도시 지역의 치솟는 물가, 집값, 양육·교육비 부담도 저출생의 주요 원인이다. 2021년 중국의 한 해 혼인신고 건수는 764만3000건으로, 1986년 통계 발표 이래 35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하더라도 2050년까지는 최소 12억50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할 것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코노미스트는 “약한 중국 경제라도 (여전히) 세계 최대 경제”라며 “중국의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워진다 하더라도 그것이 쇠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예상보다 이르게 인구 정점을 맞이한 중국과 달리 인도는 앞으로도 40년 동안 꾸준히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정보분석업체 세계인구리뷰(WPR)는 2022년 말 기준 인도 인구를 악 14억1700만명으로 집계했다. 사실상 이미 중국을 500만명가량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중국이 출생률을 낮추기 위해 ‘한 가구 한 자녀’ 정책을 도입한 1976년 무렵 처음으로 인구 정책을 내놓았으며, 종교적 이유로 오랫동안 산아제한 정책을 도입하지 않았다. 그 덕분에 인도의 합계출산율은 여전히 2.0명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인구의 47%가 25세 미만이다. 향후 수십년간 생산가능인구가 풍부한 ‘인구 보너스’ 혹은 ‘인구배당효과’를 누리리란 기대가 나오는 배경이다.

‘세계 인구 1위’라는 지위는 인도가 국제사회에서 목소리를 키우는 명분이 될 수 있다. BBC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 끼워달라는 인도의 요구가 강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도 또한 고민이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도 일자리 창출이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다. 인도의 생산가능인구는 9억명을 상회하지만 노동참여율은 46%에 불과하다. ‘젊은 인구구조’의 한편에서 60세 이상 인구가 10%에 도달한 고령화 역시 진행되고 있다는 점 또한 사회적 부담이 될 수 있다. 인도경제모니터링센터(CMIE)는 “인도는 시한폭탄 위에 앉아 있다. 신속하고 충분하게 고용을 창출하지 못한다면 사회적 불안이 생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 이종섭 특파원·김서영 기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