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만 20명 중 1명 ‘고립 청년’…“편의점 빼고 외출 안 해”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둔형 외톨이, 일본에선 '히키코모리'로 불리며 사회적 문제가 됐죠.
옆나라만의 이야기 아닙니다.
우리도 서울에만 12만 9천 명의 고립, 은둔형 청년이 있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꿈과 활력을 잃어버린 그들을 김예지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3년간 나홀로 생활을 해온 서른 살 정모 씨.
생필품을 사러 편의점에 가는 것 빼고는 집밖을 나가는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대화도 편의점 직원과 계산할 때 뿐이었습니다.
[정모 씨 / 30세]
"사람이랑 대화를 안 하니까 이제 사람들하고 말하는 게 무섭기도 하고."
28살 김모 씨의 은둔 기간은 더 길었습니다.
통풍에 걸리면서 7년 가까이 꼭 필요한 외출 외에는 방에만 있었습니다.
[김모 씨 / 28세]
"무기력해지고 무슨 일이든지 하기가 좀 싫어지더라고요."
두 사람은 지난해부터 서울시 지원 센터에서 함께 먹고 자고 생활하며 일상 생활을 되찾고 있습니다.
[정모 씨 / 30세]
"5일 정도 안 씻고, 그냥 집에만 있으니까. 여기서는 맨날 일어나면 러닝 갔다 오면 무조건 씻고."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만 39살 이하 청년들과 청년이 있는 가구를 조사한 결과 6개월 이상 정서적 물리적으로 고립된 고립 은둔 청년은 전체의 4.5%에 달했습니다.
서울시 인구에 적용하면 12만 9천 명에 이르는 겁니다.
고립 은둔 생활의 원인으로는 실직 또는 취업의 어려움을 꼽은 응답자가 45.5%로 가장 많았습니다.
심리적,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김옥란 /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장]
"청년을 왜 도와줘야 되나라는 사회적 시각이… 아프거나 경제적인 위기가 닥치거나, 누구든지 고립으로 향할 수 있거든요."
서울시는 단순 상담에서 벗어나 대학병원과 협약을 맺고 지원 사업을 체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열
영상편집 : 유하영
김예지 기자 yeji@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