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가상자산 규제 완화?…들썩이는 코인시장

이지영2 기자 2023. 1. 18. 18: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가상자산 규제하던 중국, '육성' 움직임
1월 초 '국영 디지털 자산 거래소' 깜짝 출범
디지털 위안화, 증권 매입에 활용
비트코인 선물 ETF, 홍콩 증시 상장도
"비트코인 '채굴' 금지했지만, 암암리 진행 중"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비트코인 채굴 금지 등 가상자산(가상화폐)에 폐쇄적이었던 중국의 달라진 행보에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이달 초 국영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깜짝 출범한 데 이어 디지털 위안화를 증권 매입에 활용하는 등 '디지털 경제' 패권을 쥐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비트코인 선물 ETF가 홍콩 증시에 잇따라 상장한 것 역시 중국 가상자산 규제 완화의 '시그널'로 해석되며 관심을 끈다. 다만 중앙 권력이 모든 걸 통제하기를 원하는 중국 체제 특성상 중앙집중화된 플랫폼에 한정해서 자체 가상자산 및 디지털 화폐를 육성할 거란 분석이 나온다.

디지털 위안화, 주식 매수에도 활용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위안화(e-CNY)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유가증권 매수에 사용됐다. 앞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개발에 앞장서 왔던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활용 범위를 단순 결제 기능에서 주식 구매로까지 넓힌 것이다.

이전부터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미중 간 통화 패권 전쟁에서 우위를 점하려 했던 중국의 의도를 대입하면 자연스러운 확장이기도 하다.

실제로 한국은행 보고서(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주요 이슈별 글로벌 논의동향)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디지털 위안화 시범운영을 확대하는 등 주요국 중 가장 적극적인 모습이다.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배경으로는 ▲디지털 결제에 익숙한 환경 ▲통제권 강화 수단 활용 등이 꼽힌다. 이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등 모바일 결제 인구가 지난 2021년 9억명을 넘을 정도로 현금 없는 사회가 정착됐고, 자금 흐름 추적 등 정부의 통제권 강화 수단으로 디지털 위안화를 도입한다는 설명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시장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관계자 A씨는 "중국은 앞으로 모든 화폐가 디지털로 바뀌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디지털 통화 패권을 가져가려는 모습"이라며 "향후 디지털 위안화의 방향은 역외 결제를 통해 국제 무역결제, 해외 송금 등으로 사용처를 확대해 위안화의 국제적 사용도 제고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 화폐에 대한 중국의 높은 관심은 '국영 거래소 출범'에서도 엿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일 베이징에서 '중국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불리는 국영 거래소 출범식을 열었다. 해당 거래소에서는 '디지털 컬렉션'으로 불리는 대체불가토큰(NFT)과 디지털 저작권 등이 거래될 예정이다.

또한 중국은 해당 거래소를 통해 NFT 시장의 과도한 투기를 방지하고, 향후 디지털 상품 범주에 속하는 온라인 가상 자산들의 거래 활성화를 도울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유화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중국 같은 경우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기존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입장이지만, 정부 지원 가상자산 프로젝트나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매우 많이 열려있다"며 "이는 중국 정부 자체 플랫폼에서 자체 가상자산 생태계를 키우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이어 "중국은 자체 블록체인 기술, 자체 NFT, 자체 디지털 화폐를 구축한다는 기조 내에서 발행되는 가상자산은 육성하려는 입장"이라며 "중앙 권력이 통제할 수 없는 탈중앙화 조직과 시스템은 배제한 채로 키우려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선물 ETF, 홍콩 증시 상장…채굴도 암암리 진행

중국의 가상자산 규제 완화를 점치는 움직임은 또 있다. 최근 비트코인 선물 ETF가 잇따라 홍콩 증시에 상장한 것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13일 홍콩 지사를 통해 홍콩증권거래소에 비트코인 선물 ETF를 상장했다. 홍콩은 현재 아시아에서 비트코인 선물 ETF를 거래할 수 있는 유일한 시장이다. 홍콩 외 비트코인 선물 ETF 거래가 가능한 국가로는 캐나다, 미국, 독일, 호주, 스위스 등이 있다.

이번 ETF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비트코인 선물 상품에 투자해 비트코인 현물과 유사한 투자 성과를 얻고자 하는 상품이다. 국내 및 아시아권 투자자들은 해당 ETF를 통해 각자 편한 시간대에 비트코인 선물에 투자할 수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전문매체인 코인텔레그래프는 해당 ETF에 대해 "개인 키를 직접 구매해 보유하지 않아도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어 매력적인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계는 이번 ETF 상장이 향후 중국 가상자산 규제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거라고 진단했다. 홍콩은 특별행정구역으로 중국 본토와 다른 독립적인 금융 및 법률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지만, 홍콩의 움직임이 중국 정부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홍콩은 중국 본토와 다르게 친 가상자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안 교수는 "중국은 디지털 화폐 및 메타버스 생태계에 이전부터 큰 관심을 보여왔다"며 "그 관심의 연장선으로 표현되는 가상자산 ETF는 육성하려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암암리에 진행되는 가상자산 채굴 역시 규제 완화를 이끌 나비효과가 될지 주목는다. 앞서 중국은 비트코인 채굴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미국에 이어 채굴 점유율 2위를 기록한 바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도 중국의 해시레이트가 집계되고 있다. 즉 채굴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 B씨는 "중국 정부가 지난 2021년 6월부터 공식적으로 채굴을 전면 금지했지만, 암암리에 채굴하는 것으로 안다"며 "현재 데이터상에서도 해시레이트가 돌고 있어 채굴이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ee0@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