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소모 1000배 이상 낮춘 `플래시 메모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존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전력소모를 1000배 이상 줄일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전상훈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해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하프늄옥사이드 강유전체 박막의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안정화해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강유전체 소재의 NC-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프늄옥사이드 강유전체 박막 기반으로 구현
기존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전력소모를 1000배 이상 줄일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전상훈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해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음의 정전용량 효과(NC 효과)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이런 특성을 가진 유전체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의 전압을 내부적으로 증폭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강유전체에서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실험적으로 관찰했지만, 소형화와 반도체 제조 공정에 부합하지 않아 소자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하프늄옥사이드 강유전체 박막의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안정화해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강유전체 소재의 NC-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메모리는 전력 소모를 기존보다 1000배 이상 적고, 인메모리 컴퓨팅을 기반으로 구현돼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발휘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를 이용해 데이터 저장과 연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상훈 교수는 "저전압과 고성능 특성을 구현해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지난해 12월호)'에 게재됐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계곡살인 이은해·조현수 `범인도피 교사` 혐의 징역 3년 추가
- 강남 육횟집 여사장 알몸 시위…"건물주가 보증금·월세 턱없이 올렸다" 주장
- "재밌다" 외치다 갑자기 비명…네팔여객기 사고 마지막 영상
- 군복입은 김건희 여사 "고공강하 제일 멋있어"…장병들 "여사님 사랑합니다"
- 전여옥, 나경원에 폭탄발언 “한 번 깡그리 말아먹은 ‘180석 전과’ 있음에도…”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