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ESS' 시장 활짝 하반기 제주서 시범운영
전국에 '백업용 ESS' 보급
2036년까지 45조원 투입
정부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 수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2036년까지 45조원을 투입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확대한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 백업용 ESS' 시장 구축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발전사(민간·공공)를 상대로 사업자를 선정한 뒤 올 하반기 제주에서부터 시범 운영에 나서기로 했다. 이후에는 재생에너지가 밀집한 지역으로 영역을 넓혀갈 방침이다. 2036년까지 최대 45조원을 투자해 총 26기가와트(GW) 규모의 백업용 ESS를 조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현재 ESS는 '주파수 조정용'과 '재생에너지 연계용'이 있다. 주파수 조정용은 발전 차질 등에 따른 주파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전력이 운영한다. 재생에너지 연계용은 발전사업자들이 수익성 제고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한다.
이와 달리 백업용 ESS는 사업자가 전력거래소 지침에 따라 충·방전하고 충전한 전력을 한전 등에 판매해 수익을 내는 시장이다. 또 기존 ESS와 달리 대규모로 구축되며 초단주기·단주기·장주기 등 기간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백업용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크다. 현재 출력제어 문제가 가장 심각한 곳은 제주다. 2015년 3건(풍력발전 기준)에 불과했던 제주 출력제어 건수는 지난해 104회까지 급증했다.
강승진 한국공학대 에너지대학원 교수는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비중이 15%를 넘으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다른 발전원으로 보완할 수 없다"며 "백업용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제주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8%에 달한다. 육지의 경우 향후 영호남과 중부권에 재생에너지가 더 집중될 전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은 영남권이 21만8484GW로 가장 많다. 그다음 중부권 16만1399GW, 호남권 15만2895GW 순이다.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수도권은 5만7605GW에 불과하다.
[송광섭 기자 / 이진한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한 항공사가 승객에게 기내식 먹지 말라는 이유 - 매일경제
- “다 계획이 있었구나”…삼성의 ‘폴더블폰 대중화’ 초읽기? - 매일경제
- 50억~60억대 빌딩 갖고 있는 ‘건물주님’...돈 얼마나 벌까 [매경5F 신기자 톡톡] - 매일경제
- “할인 때문인가?”...6700만원 BMW 편의점서 실제로 팔려 - 매일경제
- 軍 “어제 사드기지 접근한 드론, 미군이 추락시켜” - 매일경제
- 트위터 16조원 부채 시한폭탄 터진다…파산설 ‘모락모락’ - 매일경제
- “국내증시에 환멸이”...동학개미, 이 종목 제일 많이 팔았다 - 매일경제
- “금보다 낫다”...한달새 10% 넘게 뛰어오른 ETF - 매일경제
- [단독] 尹대통령, 文 전 대통령에 생일 축하 난 보내 - 매일경제
- 셀틱, 조규성 포기…스코틀랜드 26골 공격수 관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