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올해 물가-경기·금융 안정 상충 관계 고려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올해 물가에 중점을 두면서도 경기 및 금융 안정과의 상충 관례(trade-off)를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해에는 물가에 중점을 뒀다면, 올해는 이러한 정책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통화정책을 보다 정교하게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올해 물가에 중점을 두면서도 경기 및 금융 안정과의 상충 관례(trade-off)를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해에는 물가에 중점을 뒀다면, 올해는 이러한 정책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통화정책을 보다 정교하게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운용 여건은 ▷예상치 못한 높은 인플레이션 ▷달러화의 강세 ▷높은 레버리지 수준 하에서의 통화 긴축 등 공통점을 나타냈다.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는 공통적인 현상이었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한 요인은 국가별로 달랐다. 유로지역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공급측 요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컸던 반면, 미국의 경우 팬데믹 회복과정에서 늘어난 재정 지출,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 등으로 물가 압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수요, 공급 요인의 기여도가 양 지역의 중간 정도에 해당했다.
이러한 물가 충격 요인의 차이는 향후 에너지 가격 하락 시 각국의 인플레이션 조정 양상의 차별화로 이어져 통화정책 대응이 달라질 것이란 관측이다.
외환시장에서는 지난해 8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원화가 달러화 강세 속도보다 더 빠르게 절하되자 우리 정책당국은 외환파생거래 관련 마진 콜 확대가 다시 환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순환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개입해 환율 상승 속도를 억제했다.
레버리지의 경우 기업, 정부 및 대외 부문 부채는 현재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닌데 반해 가계부채는 그렇지 않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중은 105%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하며 저금리 환경 및 팬데믹 하에서 빠르게 증가했다.
이 총재는 “단기적으로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불안을 초래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가계부채 구조는 통화정책 결정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단기부채 및 변동금리 비중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만기가 1년 이하인 가계부채 비중이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며 가계부채의 80% 정도가 변동금리 대출로 이뤄져 있다. 이에 통화 긴축 및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소비지출 및 경기의 민감도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리 인상 효과의 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간에 상충 관계가 커질 수 있고, 이는 통화정책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 총재는 올해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core inflation)은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headline inflation) 둔화 흐름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둔화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더딜 수 있다고 봤다.
또 부채 문제로 한국의 금융시스템에 단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어 보이지만 부동산 관련 부문에서 어려움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이 총재는 “올해는 국가별로 통화정책이 차별화되는 가운데,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시장과의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pin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친자식 맞다” UN 김정훈, 임신 공개한 前연인 상대 소송 패소
- “제발 우리집 좀 지어주세요”…공사비 인플레 날벼락 맞은 재건축 [부동산360]
- 두돌 아기 몸에 피멍…“멍크림 발라줬다”는 보육교사 소행이었다
- “속쓰림엔 ‘겔포스’로 떼돈 벌더니” 800억 베팅 30대 재벌 3세, 여기에 꽂혔다
- “송혜교 복수 이 정도일 줄은” 넷플릭스 이용자 1년 새 최대치 찍었다
- “밥 먹으러 회사 가나요?” ‘판교 맛집’ 카카오에 되레 뿔난 직원들
- “주 3일도 많다 주 2일 근무 도입”…파격 실험 나선 이 회사 어디?
- 엑소 출신 크리스 ‘화학적 거세’ 위기…'성폭행 혐의' 결국 체포
- “연봉 1억원 직장 알아보려다” 졸지에 세상에 ‘내 연봉’ 공개
- 배우 지수 '학폭' 폭로 명예훼손 아니다…"허위 사실로 볼 수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