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소식]뇌혈관 장벽 일시적으로 개방해 치매 항체 치료제 전달률 높인다
홍은심 기자 2023. 1. 18. 03: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 장벽(BBB)을 일시적으로 열어 치매 항체 치료제의 전달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의대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의대 약리학교실 김혜선 교수 연구팀과 치매 유발 생쥐의 해마 부위에 위치한 뇌혈관 장벽을 고집적 초음파로 개방해 항체 치료제 전달률을 8.1배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대 장진우-서울대 김혜선 교수
초음파 활용해 전달률 8.1배 향상
초음파 활용해 전달률 8.1배 향상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 장벽(BBB)을 일시적으로 열어 치매 항체 치료제의 전달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의대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의대 약리학교실 김혜선 교수 연구팀과 치매 유발 생쥐의 해마 부위에 위치한 뇌혈관 장벽을 고집적 초음파로 개방해 항체 치료제 전달률을 8.1배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치매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에 쌓이며 뇌세포를 파괴해 발생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하지만 치료 효과를 위한 고용량 투약시에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임상에서 사용시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한 논란이 제기돼 왔다.
항체 치료제 등 약물을 고용량 투약해야 하는 이유는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 장벽 때문이다. 인체 내에서 세균 등 독성 물질을 거르는 뇌혈관 장벽의 역할이 오히려 치매 항체 치료제 약물 전달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하는 것이다.
장 교수팀은 2021년 광범위한 전두엽의 뇌혈관 장벽을 초음파 수술로 안전하게 개방하는 수술법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 동시에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는 물론 행동심리검사에서도 일시적이지만 치매 환자의 증상 호전을 확인한 바 있다.
후속 과제로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는 치매 유발 생쥐를 통해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 수술을 이용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체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조사했다.
치매 유발 생쥐의 뇌혈관 장벽을 초음파로 개방 수술한 그룹과 항체 치료제인 아두카누맙 투약만 한 그룹,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 수술과 아두카누맙 투약을 동시에 같이 한 세 그룹으로 나눠 실제 치매 증상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했다.
뇌의 해마 부위로 아두카누맙이 전달된 양을 살펴본 결과,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는 투약만 한 그룹보다 전달량이 8.1배 높았다. 또 아두카누맙이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한 양은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 투약만 한 그룹보다 약 2배 높았다.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만 한 그룹은 투약을 하지 않았어도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를 보였다.
Y-미로 검사를 통해서 뇌혈관 장벽 개방과 투약을 한 그룹에서는 대조군(치매 생쥐)에 비해 인지 기능이 40% 정도 호전된 것을 관찰했다. Y-미로 검사는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는 쥐의 습성을 이용해 쥐가 세 갈래 길에서 얼마나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고 새로운 길로 가는지를 관찰하는 인지 기능 확인 실험이다.
장 교수는 “이미 임상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수술과 아두카누맙과 같은 새로운 치매 항체 치료제를 병행하는 임상 연구를 조만간 이어갈 계획”이라며 “치매를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가운데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이용한 뇌혈관장벽 개방 수술은 치매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연세대의대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의대 약리학교실 김혜선 교수 연구팀과 치매 유발 생쥐의 해마 부위에 위치한 뇌혈관 장벽을 고집적 초음파로 개방해 항체 치료제 전달률을 8.1배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치매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에 쌓이며 뇌세포를 파괴해 발생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 하지만 치료 효과를 위한 고용량 투약시에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임상에서 사용시 안전성과 유효성에 관한 논란이 제기돼 왔다.
항체 치료제 등 약물을 고용량 투약해야 하는 이유는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 장벽 때문이다. 인체 내에서 세균 등 독성 물질을 거르는 뇌혈관 장벽의 역할이 오히려 치매 항체 치료제 약물 전달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하는 것이다.
장 교수팀은 2021년 광범위한 전두엽의 뇌혈관 장벽을 초음파 수술로 안전하게 개방하는 수술법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 동시에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는 물론 행동심리검사에서도 일시적이지만 치매 환자의 증상 호전을 확인한 바 있다.
후속 과제로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는 치매 유발 생쥐를 통해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 수술을 이용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체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조사했다.
치매 유발 생쥐의 뇌혈관 장벽을 초음파로 개방 수술한 그룹과 항체 치료제인 아두카누맙 투약만 한 그룹,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 수술과 아두카누맙 투약을 동시에 같이 한 세 그룹으로 나눠 실제 치매 증상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했다.
뇌의 해마 부위로 아두카누맙이 전달된 양을 살펴본 결과,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는 투약만 한 그룹보다 전달량이 8.1배 높았다. 또 아두카누맙이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한 양은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과 투약을 같이 한 그룹에서 투약만 한 그룹보다 약 2배 높았다. 뇌혈관 장벽 개방 수술만 한 그룹은 투약을 하지 않았어도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를 보였다.
Y-미로 검사를 통해서 뇌혈관 장벽 개방과 투약을 한 그룹에서는 대조군(치매 생쥐)에 비해 인지 기능이 40% 정도 호전된 것을 관찰했다. Y-미로 검사는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는 쥐의 습성을 이용해 쥐가 세 갈래 길에서 얼마나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않고 새로운 길로 가는지를 관찰하는 인지 기능 확인 실험이다.
장 교수는 “이미 임상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뇌혈관 장벽 초음파 개방수술과 아두카누맙과 같은 새로운 치매 항체 치료제를 병행하는 임상 연구를 조만간 이어갈 계획”이라며 “치매를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가운데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이용한 뇌혈관장벽 개방 수술은 치매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檢, 김성태 오늘 구속영장 청구 방침…이재명측, 檢출석 여부 고심
- 고전하는 제1야당, 과연 尹 정부에게 마냥 좋은 일인가[한상준의 정치 인사이드]
- 국산 KF-21 보라매 전투기, 첫 초음속 비행 성공
- 尹대통령, UAE 순방 마치고 스위스行…오른손 가슴에 올리며 인사
- 尹, ‘UAE 동행’한 경제사절단에…“저는 대한민국 영업사원”
- “변혁 없인 10년 후 생존 못해”… 新舊 산업 간 ‘갈등규제’ 풀어야[사설]
- 日·네덜란드 “신중”… 美 ‘中 반도체 규제’ 동맹과 호흡 맞출 때[사설]
- 성주 사드기지 인근 드론 추정 물체 출현…군 대응 전자파로 추락
- 이재명, 檢 출석 여부 묻는 질문엔 침묵…野내부는 만류 의견 많아
- 실내마스크 벗는 날, 금요일 발표…“중대본 거쳐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