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자율주행의 위기
오시리아 셔틀 시범운영, 제도 완비후 시내운행을
김용학 부산도시공사 사장·공학박사·‘스마트시티 세계’ 저자
‘모바일 하우스’ 개념으로까지 확장되던 자율주행 차량 업계가 천문학적인 투자에 따른 재정적 압박과 부진한 수익 실현으로 발목을 잡히는 모습이다.
자율주행 기업 세계 3위 ‘Argo AI’가 설립 6년 만에 해산된다고 한다. 구글 웨이모는 상용화 시기를 연기하며 존 크라프칙 CEO가 사퇴하고, 우버는 자율주행 사업을 ‘오로라’에 매각한다. 또 라이다 센서 공급업체 벨로다인, 오스터도 합병을 선언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3’에서도 전기차, 커넥티드 카, 차량용 소프트웨어 등은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자율주행 등 미래차(車) 부문은 ‘기술 고도화’ 단계에서 멈칫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몇 년 전만 해도 자율주행은 완성차 IT 부품사 스타트업들의 꿈이었다. 2017년 6월 15일, 파리 남서부 라 포르트 베르사유에서 자율주행 개발사 ‘나비야(NAVYA)’가 만든 ‘아르메(ARMA)’가 시연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9월 4일, 자율주행차 ‘제로셔틀’이 판교의 제2 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앞 도로에서 지하철 신분당선 판교역 방향의 일반도로를 운행한 후 지금은 서울시 세종시 등에서도 유·무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Level 4 수준의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도로 인프라’의 기능이 ‘물리적인 인프라’, ‘디지털 인프라’, 그리고 ‘논리적인 인프라’의 3가지 측면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해당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리적인 인프라’는 종단선형 및 횡단선형 등의 개선과 차선 및 차로 폭, 노면상태 및 노면안내 표시, 도로이탈 방지 장치 등의 개선이 포함된다.
‘디지털 인프라’는 고정밀지도(HD Map)를 구축해서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해 주는 측위기술(Positioning Technology)과 함께 그동안 운전자가 인식하던 모든 도로주행 조건을 자율주행 차량이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이며 도식적인 모든 도로표지 및 안내표지를 디지털화시키는 것이다.
‘논리적 인프라’는 디지털 인프라인 V2X를 통해 얻어진 차량과 도로의 모든 주행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구성하고, 이를 4개의 첨단정보처리 주체(ITS Station), 즉 차량단(Vehicle Station), 도로단(Roadway Station), 센터단(Central Station) 및 개인단말기(Personal Station)에서 각각의 목적에 맞는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완성 외에도 완전 자율주행으로 가기 위해서는 안전과 윤리 문제를 포함, 보상·배상 등 사회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자율주행 차량은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차량 내 센서 및 컴퓨터로 수집된 개인정보와 통신기술이 해킹될 경우 차량 테러 등 끔찍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완벽한 상태의 보안과 규제가 필수적이다. 사고 발생 시 사고 주체의 여부, 위급한 상황에서 운전자와 보행자 중 누구를 살릴 것인가 하는 소위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도 배제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리고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이 고장 날 경우, 자체 복구 등 문제해결 능력도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기술적·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해결 과제의 결정판은 보험제도의 완비일 것이다. 자율주행은 분명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는 현저히 줄일 수 있겠으나 모든 위기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뛰어난 프로그램 개발이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새로운 시대로의 도약은 좋지만 그에 맞는 기술의 완벽과 함께 사회적 제도도 충분히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2022년 봄, 부산에서도 자율주행 시범지구가 지정되었다. 자율주행 운행을 위해서는 센서 등 ICT 시설을 갖춘 전용노선과 안전한 승하차가 보장될 수 있도록 정류장도 개선하는 등 물리적 인프라가 먼저 구축되어야 한다. 정해진 구간과 통제된 환경에서 운행하는 노면전차나 철도차량보다 고속도로를 자유롭게 달리는 차량의 자율주행이 더 어렵고, 자전거나 보행자, 모터사이클 등 돌발상황이 잦고 차량 밀집도가 훨씬 높은 일반도로를 달리는 차량에 대한 자율주행 기술은 훨씬 더 어렵고 또 오랜 준비 기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한된 구역에서 셔틀 운행을 먼저 구현한 후, 기술의 발전과 제도 등이 완비되면서 완전 자율주행 및 일반도로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월드엑스포 2030’ 개최도시 선정이 멀지 않다. 2030년 봄, 엑스포에 참석한 손님들이 ‘오시리아 국제관광단지’를 관광하면서 완전자율주행 셔틀과 공유차량, 그리고 최첨단 모빌리티를 타고 매력 있는 관광도시 부산을 마음껏 즐기는 이동의 자유를 누렸으면 좋겠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