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등 남미 최악 가뭄… 세계 식량위기 재현 우려

뉴욕/정시행 특파원 2023. 1. 18.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1위 밀가루-대두유 수출국 아르헨티나 신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어 ‘식량 악재’
지난해 연말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강바닥이 말라붙으면서 물고기 뼈가 드러난 모습. 아르헨티나와 칠레, 우루과이, 브라질, 볼리비아 등은 라니냐 현상에 따른 60년만의의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 최대 곡창 지대인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남미 일대가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면서 곡물 생산·수출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지난해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의 빵바구니’가 강타당해 세계 식량 물가가 급등했던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6일(현지 시각) 부에노스아이레스타임스는 현재 여름인 아르헨티나의 국토 54%가 가뭄 영향권에 들면서, 올해 밀과 대두, 옥수수와 해바라기씨 등의 생산량이 절반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세계 최대 대두유·밀가루 수출국인 아르헨티나의 곡물 수출량은 올해 21~33%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총 손실액을 23억~29억달러(약 3조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최근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밀·옥수수·대두 값은 지난해 4월 이래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남미 남부 가뭄정보시스템(SISSA)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중부와 칠레 중부, 우루과이 전역과 브라질, 볼리비아 등은 현재 ‘극심한 가뭄’ 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강바닥·호수가 말라붙어 곡물 작황을 망치고 소가 수천마리 폐사될 정도로 6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라고 한다. 이 같은 남미 가뭄의 원인은 ‘라니냐’ 때문이다. 라니냐는 적도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 이상기후를 초래하는 현상으로, 인도네시아와 서태평양에는 극심한 장마를, 북미에는 강추위를, 남미엔 심한 가뭄을 일으킨다.

지난 2022년 8월 우크라이나의 한 곡물창고 모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흑해 곡물 수출 창구를 막아버리고 곡물과 비료 수출을 틀어막으면서 세계 식량 공급난에 각국의 식량 보호주의가 이어지면서 식량 물가가 폭등했었다. /AP 연합뉴스

캐리 파울러 미 글로벌 식량안보 특사는 CNN 인터뷰에서 “국제 분쟁과 코로나 팬데믹, 기후변화 등 식량 위기의 주요 원인들이 누적되고 있다”며 “2023년엔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을 넘어 세계적 식량·인도적 위기가 복합적으로 덮칠 수 있다”고 말했다. 작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흑해를 통한 밀과 해바라기유, 비료 수출이 막히고, 각국이 식량 보호주의로 돌아서면서 식량 부족을 겪는 세계 인구가 3억4500만명으로 2019년보다 3배 급증하고, 식자재를 필두로 한 글로벌 물가 폭등을 촉발했다. 데이비드 비즐리 유엔세계식량계획 사무총장은 “이번 다보스 포럼에서 각국이 식량 공급을 안정화할 방안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