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먹는 하마’ 데이터센터 수도권 쏠림, 주민과 지자체 ‘동상이몽’
정부 “지금 추세대로면 적기에 전력 공급 어려워”
기업 “미래 산업 인프라·인재 수도권에 몰려 있어”
디지털경제 핵심축인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2029년까지 추가로 지어질 데이터센터의 86%가 서울·경기·인천에 몰려있다.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미래 산업 인프라가 갖춰진 수도권에 시설 투자가 쏠리는 모습이다.
그러나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 건설이 이 같은 추세로 지속되면 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정부는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을 선호하는 민간 기업의 입지 선정에 개입할 방도가 없어 해법은 마땅치 않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2년 9월 기준 전국에 구축된 데이터센터 중 6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서울과 가까운 경기 안양시의 경우 축구장 12배 크기의 데이터센터가 설치돼 있는데, 추가로 4곳의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다. 오는 2029년까지 신설 계획인 데이터센터 637곳 가운데 550곳(86.3%)이 서울·경기·인천에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에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을 아직 통보하지 않는 ‘숨은 수요’까지 감안하면 그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가장 큰 문제는 전력 공급이다. 데이터센터는 1년 365일 24시간 서버와 스토리지를 가동한다.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력사용량이 클 수밖에 없다. 데이터센터 1곳의 평균 연간 전력사용량은 25GWh로, 4인 가구 6000세대 사용량과 맞먹는다. 2022년 9월 기준 국내에 운영 중인 147개 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시간당 1762MW로, 최대 전력 부하 대비 1.9% 수준이다.
정부는 수도권에 전력 사용을 신청한 데이터센터 550곳 가운데 64곳만 적시에 전력이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송·배전망 추가 건설 부담과 전력계통 혼잡 유발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전력사용 협의 시 입지 계획에 대해 조정·보완을 요구할 수 있지만 강제성은 없다. 계획대로 데이터센터 건설이 진행되려면 정부 차원에서 전력 공급을 뒷받침할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
수도권 인근 발전소의 공급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타지 전력을 끌어오는 과정에 갈등이 불거지기도 한다. 올해 3분기 준공 완료를 앞둔 LG유플러스의 ‘안양 평촌2센터’의 경우 최근 초고압선 지중화 공사가 논란이 됐다. 15만4000V의 초고압선이 주거지 땅속에 매설되는 게 알려지자 일부 주민들이 전자파의 유해성을 우려한 것이다. 안양시는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정부가 정한 인체보호 기준보다 낮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의문을 표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기업은 현실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편중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지방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면 수도권보다 사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데이터센터는 포털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게임업체 등 인터넷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에게 필수적인 기반시설로 수요 업체 대부분이 수도권에 위치한다.
또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신산업과 연계해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빠른 응답을 요구하는 저지연 서비스의 수요처와 가까운 곳에 있어야 제기능을 할 수 있다.
‘부르는 게 값’인 정보기술(IT) 전문인력 조달도 수도권 입지를 선호하는 이유다. 시장의 IT 인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시설이 비수도권에 있으면 우수한 인재들의 외면을 받기 쉽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 1곳당 기술 개발, 시설 운영, 유지보수 등에 최소 수백명이 필요하다.
IT업계 관계자는 “작년 10월 SK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 서비스가 중단돼 일상 생활이 마비됐다”면서 “사고 대응에 필요한 인력을 신속하게 투입하기 위해서라도 교통·통신 인프라가 월등한 수도권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는 시설 유치를 반기지만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하다. 데이터센터 1곳을 짓는데 보통 5000억원 가까이 투입된다. 관내 기업으로부터 자재 등을 공급받아 시설을 구축하고, 건설 과정에 고용 인원도 1만명 이상 발생한다. 다만 지자체로선 단기 고용유발 효과에다, 세수 확보에서 시설 유치를 꺼릴 이유가 별로 없다. 다만, 시설 특성상 고급 상주고용 인원은 수십~수백명에 그쳐 주민들은 꺼리는 편이다.
수도권 쏠림 속 비수도권 지자체는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산업부 당국자는 “비수도권 지역에 데이터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지방 대학의 관련 학과도 육성해 인력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트럼프 반대한 ‘반도체 보조금’···바이든 정부, TSMC에 최대 9조2000억원 확정
- [사설] 이재명 선거법 1심 ‘당선 무효형’, 현실이 된 야당의 사법리스크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