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코로나·우크라 전쟁' 세계화 조류 바꾼다
기사내용 요약
다국적 기업 해외 생산 안보 리스크 커지면서
중국 일변도에서 동남아 등지로 다변화하는 중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값싼 노동력과 큰 시장을 찾아 전 세계로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이 예전과 달리 안전을 중시하면서 세계화 조류가 변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6년 미 구글과 페이스북이 홍콩 파트너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와 홍콩 간 1만3000㎞ 길이의 해저 광케이블을 설치해 강대국간 정보 고속도로를 설치키로 할 당시 미래 전망은 밝았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계획대로 실현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가 안보상 이유를 들어 승인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글과 페이스북은 각자 필리핀과 대만을 우회해 홍콩에 연결했다.
태평양광케이블네트워크 사업이 무산된 것은 세계화의 현 조류를 잘 보여준다. 다국적 기업들은 수십 년 동안 가성비가 우수한 수출기지를 개척하고 인구가 급증하는 개발도상국 젊은이들에게 물건을 팔았다. 국가 간 안보 및 정치적 갈등이 기업 활동을 방해하지 않을 것으로 믿으면서다.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다.
다국적 기업들은 지금도 가성비 좋은 생산지와 신흥 시장을 찾아 나선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안전이 큰 고려사항이 됐다. 미중 간 직접적 대립과 갈등이 고조된 여파다.
국제 경제적 연관성은 여전히 유지되지만 재조정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효율성 대신 안전을 추구하면서 생활비와 기업 유지비용이 증가하고 기업 이익률이 줄고 있다. 기업 이사회가 위기 발생 가능성을 전보다 훨씬 주목하고 있다. 정치인들도 경제 성장과 물가상승 완화를 넘어 국가 이익과 조화를 모색하느라 애쓰고 있다.
한편으로 이런 변화가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 미국의 에너지 부문은 유럽이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줄이면서 큰 덕을 보고 있으며 베트남, 필리핀, 멕시코 등이 다국적 기업들이 공급망을 다변화하면서 수출기지로 선택되고 있다.
세계 은행(WB)에 따르면 세계 교역은 2008년 전체 경제활동의 61%를 차지해 최고조에 올랐다.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로 전 세계가 침체에 빠진 가운데 중국이 큰 힘을 발휘했다. 이후 57%로 줄었지만 1970년대 31%, 19080년대 36%, 1990년대 40% 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치다.
세계화 조류가 급격하게 축소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다국적 기업들이 전 세계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들인 돈이 쓸모가 없어지기엔 너무 크고 물가상승, 생산성 감소, 이익 감소 등 대가가 너무 클 것이기 때문이다. 값싼 수입 생필품에 의존하는 가계도 세계화 위축을 막는 요인이며 국제 금융이 신기술 발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국제화 흐름을 위축시킨 국제적 사건으로 2018년부터 지속된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와 중국의 코로나 봉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결과 미국 수입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이 2017년 22%에서 지난해 17%로 줄었다. 다른 아시아국가들과 멕시코가 이를 대신했다. 특히 2007년 이전 대미 수출이 10억 달러 미만이던 베트남이 지난해 1200억 달러로 늘었으며 필리핀, 대만, 태국, 인도, 말레이시아도 대미, 대중국 수출이 빠르게 증가했다.
멕시코의 대미 수출액은 2008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4000억 달러에 달하고 대중국 수출도 늘었다.
반면 중국은 러시아와의 교역 및 남아시아 수출이 증가했다.
금융거래도 같은 변화 추이를 보인다. 미국의 해외 금융은 2011년 최고조에 달했으나 몇 년 동안 위축됐다가 2016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미국 자금이 증가하는 지역은 캐나다, 멕시코, 프랑스, 독일 등 오랜 동맹국들도 세계 불안정성 증가를 반영한다.
남아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도 증가했다. 중국과 홍콩은 2008년 미국의 대외 투자액의 24%를 차지했으며 싱가포르가 21%였다. 지난 2021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투자 허브인 싱가포르에 대한 투자액이 38%로 크게 증가한데 비해 중국과 홍콩은 26%로 소폭 증가했다.
기업인들로선 갈수록 위험이 커지는 국제 환경에 어떻게 잘 대처할 지가 큰 과제다. 산업구조가 이미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변한 선진국에 대한 투자를 늘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
구글과 페이스북의 태평양광케이블네트워크 사업의 발목을 잡은 건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다. 구글의 정책 자문을 하던 전 베트남주재 미 대사 테드 오시우스는 2019년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보면서 수십억 달러를 케이블 사업에 투자하는데 따르는 위험이 우려됐었다고 밝혔다. 그는 “홍콩에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해 미 법무부가 홍콩 측 사업 파트너인 태평양광케이블통신사에 대해 우려하면서 홍콩과 직접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반대했다.
구글과 메타는 2021년 대만과 필리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사업을 승인받았다. 그러나 최근 대만과 중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대만과의 연결이 방해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홍콩 파트너사의 모회사인 중국의 성도붕박사테크놀로지 그룹의 주가가 2015년 대비 90% 하락했다.
중국 대신 가장 큰 수혜를 보고 있는 나라가 베트남이다. 인구가 1억 명에 달하는 베트남은 젊고 교육수준이 높으며 경제 성취욕이 강하다.
베트남은 중국과 달리 국제 문제에 대해 중립성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해외 직접 투자를 유치해 성장과 번영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베트남과 중국의 유일한 차이점은 세계를 지배하려는 야심이 없다는 점뿐이다.
한편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중국 전자제품 기업 하이센스는 여전히 미국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5년 미 샌디에고에서 가까운 멕시코 지역의 TV 제조사 샤프를 인수하고 각종 최첨단 생산 설비를 구축했다. 중국에서 완제품을 수입하는데 걸리는 한 달 가량의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이 회사는 멕시코 몬테레이 북쪽에 2억6000만 달러를 투자해 “가전제품 생산 단지”를 구축하고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및 주방 기기를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일본 기업들도 세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유니클로에 의류를 공급하는 마츠오카사는 지난해 5월 발표한 사업계획에서 중국에 치우친 생산기지를 다변화해 2022년 3월 현재 50% 수준인 동남아시아 생산을 2026년 3월 71%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87억엔을 방글라데시와 베트남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중국은 기술력이 뛰어나지만 인건비가 너무 오르고 노동자를 구하기가 어렵다. 베트남과 방글라데시는 사람 구하기가 쉽다”고 밝혔다. 그는 그밖에도 코로나 봉쇄 정책 등 중국내 사업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섬유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74%였으나 지난 2021년 58.7%로 줄었다. 일본 기업들은 중국내 생산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비중을 줄여가고 있다.
코로나 기간 동안 많은 기업들이 생존하는데 집중했다. 코로나가 완화하면서 장기전망이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재세계화(reglobalization)이 시작되고 있다. 30년 이상 구축돼 온 세계화가 한 순간에 사라질 순 없는 것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女BJ에 8억 뜯긴 김준수 "5년간 협박 당했다"
- '선거법 위반' 혐의 이재명, 1심서 의원직 박탈형
- "승차감 별로"…안정환 부인, 지드래곤 탄 트럭 솔직 리뷰
- 가구 무료 나눔 받으러 온 커플…박살 내고 사라졌다
- 성신여대도 男입학 '통보'에 뿔났다…"독단적 추진 규탄"[현장]
- 허윤정 "전 남편, 수백억 날려 이혼…도박때문에 억대 빚 생겼다"
- 반지하서 숨진 채 발견된 할머니…혈흔이 가리킨 범인은
- 탁재훈 저격한 고영욱, "내 마음" 신정환에 애정 듬뿍
- '순한 사람이었는데 어쩌다'…양광준 육사 후배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