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유럽서 실패한 가격 지지정책…중증환자 연명의료하자는 양곡법 개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당이 강하게 밀어붙여온 쌀 시장격리(정부 매입)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결국 제동이 걸렸다.
사실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유사한 쌀 가격 지지 정책은 이미 지난 2011년 태국에서 시행됐다가 실패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개정안이 통과돼 시장격리가 의무화되면 2022년 25만톤이었던 쌀 초과 생산량이 2030년 64만톤으로 2.5배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쌀 초과 생산량 의무매입 강제한 양곡관리법 개정
잉여쌀 매입 위해 2026년 이후 조단위 예산 소요
쌀 시장격리 비용으로 중요 농업예산 축소 ‘불 보듯’
[김성훈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 야당이 강하게 밀어붙여온 쌀 시장격리(정부 매입)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결국 제동이 걸렸다. 법사위가 개정안을 법안심사 제2소위원회 회부하기로 결정하면서 여야는 다시 한 번 논의 절차를 밟게 된다. 본회의 상정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유럽에서는 낮은 농업생산성 문제를 해결하려 1962년 ‘유럽공동농업정책(CAP)’을 통해 버터·쇠고기 등의 최저 가격을 보장했다. 하지만 이는 생산 과잉, 가격 추가 하락, 농가소득 감소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농업예산이 늘어나면서 정부 재정은 크게 악화됐다.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수확기 초과생산량이 예상생산량의 3% 이상 또는 쌀값이 평년 대비 5% 이상 떨어지면 초과 생산량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한 마디로 정부가 초과 생산된 쌀을 다 사들이라는 것인데, 개정안이 통과되면 우리나라의 상황도 과거 유럽, 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쌀값 안정을 통해 벼 재배농가의 쌀값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쌀 산업의 안정적 기반을 확보하려는 취지는 이해한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 부담, 벼 농가 및 재배면적 증가로 인한 정책 효과 반감 등이 우려돼 신중한 추진이 필요하다. 자칫 잘못하면 중증 환자(쌀 산업)를 살리기 위한 원인 치료가 아니라, 정부 보조금에 기대 생명만 부지하는 연명의료가 될 수 있다.
조용석 (chojur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실은 우리 아빠가"...장제원 아들, 2년마다 '父 사과문' 불러
- 아내 앞에서 우승한 김시우 "옆에 있는 것만으로도 큰 힘"(종합)
- 히말라야 안나푸르나서 韓 50대 여성 트레킹 도중 사망
- '한국판 비에리' 칭송 前국가대표…납치강도 전락하다[그해오늘]
- 이은해 울먹이자… 친척 오빠 “악마라는 표현은 좀”
- 만수르, 김건희 여사에 "한국의 좋은 장소 추천해달라"
- 강남 육횟집 사장, 흉기 들고 '알몸 시위' 나선 이유
- “은행 등 금융산업 위협할지도”...가상자산 규제 첫발 뗀 금융당국
- '눈내린 APT에서 꽈당'..관리소장 책임은?
- 도쿄올림픽 악몽 지우려는 고우석 "이번엔 그 때와 다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