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IN BOOK>[Interview] 美 최대 AC 테크스타 공동 창립자 데이비드 코헨 | “지역 창업 생태계, 멘토까지 똘똘 뭉친 커뮤니티로 키워내야”

볼더(미국)=이은영 조선비즈 기자 2023. 1. 16. 18: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코헨졸 데이터시스템·핀포인트 테크놀로지스·아이센트릭코퍼레이션·이어피더 창립자, 테크스타 공동 창립자 사진 권숙연 PD

이름조차 낯선 미국 중서부 콜로라도주의 작은 도시 ‘볼더(Boulder)’. 로키산맥 기슭에 위치해 ‘마일 하이 시티(Mile High City·해발 고도 1600m가 넘는 도시)’로 불리는 이곳이 기술 창업의 성지(聖地)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최대 액셀러레이터(AC·창업기획자) ‘테크스타(TechStars)’가 이곳에 터를 잡고 창업가들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다. 미국에서 과학기술 인재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촌이라는 특성과 지역 특유의 ‘먼저 베풀기(Give First)’ 문화에서 테크스타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테크스타는 테크 분야 스타트업에 초기 투자하는 글로벌 AC다. 미국 최초이자 최대 AC로 꼽힌다. 2006년 볼더에서 시작해 현재 17개국 50개 도시에서 AC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테크스타를 거쳐 간 스타트업의 기업 가치는 총 1510억달러(약 188조5990억원)다. 유니콘(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기업) 19개, 기업 가치 1억달러(약 1249억원) 이상 아기 유니콘 기업 100여 개가 배출됐다. 테크스타의 데이비드 코헨 공동 창립자를 볼더에서 만났다.

AC라는 개념이 탄생하기 전부터 이 일을 시작했다. 계기가 궁금하다.
“나는 평생을 기업가로 살았다. 창업도 여러 번 해보고 엑시트(투자금 회수)도 했다. 테크스타 설립 직전엔 엔젤투자를 했는데 항상 어딘가 아쉬움이 남았다. 커피숍에서 창업가들을 만나 피칭을 듣고 투자금을 주고 나면, 그들에게 돈이 더 필요하게 될 때까지 아무 소식도 들을 수 없었다. 이 방법이 만족스럽지 않았다. 많은 돈을 벌고 싶은 동시에 스타트업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싶었다. 그래서 우리의 커뮤니티에 창업가들을 끌어들인 다음 성공한 기업가들이 이들의 멘토가 되어 주고 이들에게 투자하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왜 볼더에서 이 일을 시작했나.
“우리가 사는 곳이기 때문이다. 테크스타는 네 명의 공동 창립자가 설립했는데, 설립 당시 우리는 볼더에 살고 있었고 이곳의 스타트업 커뮤니티가 더 나아지기를 바랐다. 당시 볼더는 실리콘밸리나 보스턴, 뉴욕, 로스앤젤레스처럼 유명하지는 않지만, 미국 내 벤처캐피털 규모 6~7위를 차지할 만큼 투자금이 잘 모이는 곳이 됐다.”

성공적인 스타트업 커뮤니티의 조건은 무엇이라고 보나.
“무엇보다 커뮤니티가 열려 있어야 한다. 원한다면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커뮤니티는 톱 다운(top-down·하향식)으로 통제돼선 안 된다.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기업가들이 스스로 이끌어야 한다. 셋째는 20년 뒤를 바라보는 장기적인 관점이다. 15년 전 볼더에서 처음 AC 일을 시작했을 때 이 지역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빈약했다. 그러나 오늘날엔 매우 활기차게 변했다. 당장의 현실에 조급해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판단한 결과다.”

대표적인 사례가 있나.
“테크스타가 500만~600만달러(약 62억~75억원)를 투자한 스타트업이 하나 있었다. 우리로서는 매우 큰 투자였지만 사업이 실패하고 있었다. 결국 그들은 기업을 매각하기로 했고 두 곳으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다. 한 곳은 구글이었고, 한 곳은 아마 들어본 적 없을 유명하지 않은 A 기업이었다. 인수 금액은 A 기업의 제안이 더 컸지만 그들은 구글에 인수되기를 바랐다. 더 좋은 조건의 일자리를 지원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글에 인수됐다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본 것이다. 대신에 A 기업보다 훨씬 적은 200만달러(약 25억원)만 받을 수 있었다.

우리는 그들에게 좋은 선택이 무엇인가에 집중했고, 결국 그 스타트업은 자기 뜻대로 구글에 회사를 매각했다. 어찌 보면 투자 실패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그들은 테크스타의 가장 큰 지지자가 됐다. 그리고 자신들 기술 일부를 A 기업에 팔아 최초 제안보다 더 큰 금액을 받았다. 이를 예상하고 내린 결정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평생의 지지자도 얻고 더 많은 돈도 벌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들에게 도움이 되려 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

매년 각 도시에서 AC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참가 팀 선정 기준이 뭔가.
“총 여섯 가지가 있다고 치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팀’이다. 창업 아이디어는 가장 나중에 고려되는 것이고 세상을 바꾸고 싶어 하는 훌륭한 팀인지가 가장 중요하다. 재능과 통찰력이 있어야 하고 이것을 해낼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있어야 한다. 그다음은 ‘시장’을 살펴봐야 한다. 역동적인 시장이면서도 세상에 좋은 변화를 가져올 시장이어야 한다. 다섯 번째는 ‘발전’이다. 우리는 발전하지 않는 창업가에게는 투자하지 않는다. 그리고 마지막이 ‘아이디어’다. 가끔 정말 기발한 창업 아이디어들이 있긴 하지만 우리는 보통 가장 마지막으로 본다.”

다양성도 고려하나.
“물론이다. 우리는 더 많은 여성 기업가를 키워내는 데 매우 집중하고 있다. 현재 투자사 가운데 25%가 여성 주도 기업인데 우리는 50%에 가까워지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이유는 단지 그것이 도덕적으로 옳기 때문만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뤄진 팀들이 경제적으로도 더 나은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이는 데이터를 통해 매우 쉽게 알 수 있다. 우리는 궁극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최고의 기업가들을 원한다. 여성, 소수인종과 같이 과소평가 되는 집단에서 실제로 많은 좋은 기업가들이 탄생하고 있다.”

테크스타는 어떻게 참가사를 지원하나.
“우리의 AC 프로그램은 매우 초기 단계의 테크 스타트업으로부터 신청을 받은 뒤 배치(Batch)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각 도시의 프로그램마다 한 번에 12팀을 뽑고 그들은 3개월간 우리와 함께한다. 우리는 전 세계에 8000명의 멘토로 구성된 글로벌 커뮤니티가 있다. 각 지역 멘토 커뮤니티도 100~200명 규모로 구성돼 있다. 참가 팀들에 초기 투자금과 함께 이 인프라를 활용한 멘토링을 지원한다. 그들은 참가 팀이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하고 초기 고객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멘토들은 심지어 때때로 창업 팀에서 함께 일하기도 한다. 그 3개월 동안에는 거의 기적이 일어난다. 참가 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화해 대형 투자자들로부터 후속 투자를 받을 준비를 마치게 된다. 이것이 우리가 3개월 동안 하는 일이다. 우리는 이들의 공동 창립자처럼 일하고 있다. 우리는 이 모델을 사용해 50개 도시에서 각 12개 팀씩, 매년 600개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테크스타 커뮤니티는 어떻게 서로를 돕나.
“지난 15년간 200개의 기업이 테크스타를 거쳐 갔다. 기업들은 이곳을 떠났더라도 여전히 인연의 끈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기꺼이 다시 돌아와 다음 세대 창업가들을 돕는다. 가끔은 돕는 데서 끝나지 않고 투자에 참여하기도 한다. 

이런 지원을 받고 자란 창업가들은 자신이 받은 것 이상으로 또 돌려주려 한다. 완전한 선순환 구조다. 이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규범은 한 가지로 수렴한다. ‘먼저 베풀기(Give First)’다. 우리는 기꺼이 서로 멘토가 되어주려 한다. 자신이 투자한 기업인지, 투자할 기업인지, 창업가와 아는 사이인지 모르는 사이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저 물을 뿐이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How can I help you).”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