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디지털트윈 연구소 열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주행·디지털 트윈 전용 연구소를 열었다.
네모 개러지엔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 산하 관련팀이 상주하며 '카카오 T' 플랫폼에 접목 가능한 다양한 이동체를 연구하고, 디지털 트윈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과 사업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연구 설비·인력 한곳에 모아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주행·디지털 트윈 전용 연구소를 열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6일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미래 이동체 연구소 '네모 개러지'(NEMO Garage)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넥스트 모빌리티'(Next Mobility)란 뜻을 담은 네모 개러지는 자율주행 연구와 디지털 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 인력을 한데 모은 곳이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속 사물과 똑같은 쌍둥이를 가상세계에 만들고 상용화 이전 상태의 제품을 검증하는 기술을 뜻한다.
연구소는 6개층 연면적 2734제곱미터(㎡) 규모로 조성됐다. 3차원(3D) 프린팅 팜과 인쇄회로기판(PCB) 프린터, 역설계 스캐너 등을 갖춰 하드웨어 프로토타입·부품 제작이 가능하다. 자체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 디지털 트윈 팩토리도 갖췄다.
특히 자율주행차, 맵핑 로봇의 성능 실험과 실내외 복합 측위기술 검증, 센서 캘리브레이션(보정) 등을 위한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설계→프로토타이핑→검증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한자리에서 수행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네모 개러지엔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 산하 관련팀이 상주하며 '카카오 T' 플랫폼에 접목 가능한 다양한 이동체를 연구하고, 디지털 트윈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과 사업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네모 개러지를 통해 엣지 인프라(교차로 CCTV 등 자율주행 관련 'RSU'·Road Side Unit에 부착된 카메라, 라이다), V2X(차량과 사물간 통신), 자율주차,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등도 연구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PBV(목적 기반 차량), SDV(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차량) 등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할 방침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미래이동기술과 디지털트윈에 대한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혁신을 주도하겠다"며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동훈 (99re@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